10월 무역흑자와 수출이 모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연간 무역흑자도 400억 달러를 가뿐히 넘겨 지난해의 최고 기록을 갈아치울 전망이다.
1일 지식경제부가 발표한 10월 수출입동향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수출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9% 증가한 441억 1800만 달러, 수입은 22.4% 늘어난 372억 400만 달러이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로써 무역수지는 69억 1400만 달러의 흑자를 내면서 역대 최대치인 지난 6월의 66억 7000만 달러를 넘어섰다. 수출액도 최고 기록인 지난 6월의 420억 7000만 달러를 넘어섰고 일평균 수출액은 사상 최대였던 지난달과 같은 18억 8000만 달러였다. 수입액도 2008년 9월 글로벌 경제위기(396억 달러) 발생 이후 최대 규모로 추산됐다.
지경부는 올 들어 지난달까지 무역흑자 누계는 모두 359억 6800만 달러로 이미 연간 무역흑자 목표치인 320억 달러를 크게 넘어섰고, 역대 최고치였던 지난해 404억 달러도 웃돌 것으로 내다봤다.
김경식 지경부 무역투자실장은 “지난해 4분기 이후 수출이 회복세를 타고 있으며 10월 수출 증가율이 올해 상반기와 비슷한 30%선을 기록했다.”며 “이런 추세라면 연간 무역흑자도 지난해의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수출을 견인한 것은 반도체(33.1%)와 자동차(32.8%), 선박(22.6%) 등 주력 수출품목이었다. 일반기계(52.4%), 자동차부품(50.1%), 액정디바이스(8.8%) 등도 전년 동기대비 증가폭이 컸다. 특히 10월 들어 스마트폰 수출이 늘어나면서 올 들어 처음으로 무선통신기기 수출이 증가세(1.5%)를 보였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11-02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