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 전셋값 2006년 3월 이후 최고치

서울 강남 전셋값 2006년 3월 이후 최고치

입력 2010-12-03 00:00
업데이트 2010-12-03 08: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도권 아파트 매맷값은 여전히 약세를 면치 못하는 반면 전셋값은 강세를 지속하면서 서울 강남(한강이남) 지역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의 비율(전세가율)이 2006년 3월 이후 가장 좁혀졌다.

3일 국민은행의 월별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강남 11개구의 전세가율은 42.1%로, 2006년 3월(42.6%) 이후 5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비율은 전셋값을 매맷값으로 나누고 나서 100을 곱한 것으로, 예컨대 42.1%는 아파트 값이 10억원일 때 전셋값은 4억2천100만원이라는 것이며 수치가 높을수록 가격 차이가 작다는 것이다.

강남지역 전세가율은 매년 12월을 기준으로 외환위기 때인 1998년 46.7%에 불과했으나 1999년 54.2%, 2000년 58.2%, 2001년 59.8%로 치솟으며 아파트 값을 끌어올리는 원인이 됐다.

매맷값과 전셋값의 폭이 좁혀지면서 ‘차라리 집을 사자’는 매매 수요를 자극하고, 수요가 몰리면서 호가를 밀어올리는 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이후 매매가격이 폭등하면서 전세가율도 2002년 50.5%, 2003년 44.5%, 2004년 44%, 2005년 43.1%, 2006년 37.6%, 2007년 37.3%, 2008년 36.4% 등으로 서서히 떨어졌다.

이런 가운데 2005년 7월 41.6%까지 하락했던 전세가율이 그 해 말까지 차츰 높아지면서 2006년 집값이 상승하는 작은 변화가 나타나기도 했다.

그러나 국제 금융위기 이후 상승세가 꺾인 수도권의 아파트 값은 여전히 약세를 보이는 반면 전셋값은 비수기임에도 강세가 지속돼 격차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

지난달 서울 강남지역의 전세가율은 바닥이었던 작년 1월(35.9%)보다는 6.7%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강북 14개구의 전세가율은 지난달 46.3%로, 근래 저점이던 작년 1월(41%)과 비교해 5.3%포인트 상승하면서 2008년 2월(46.9%) 이후 최고치를 보였다.

2008~2009년 거의 매달 40%를 밑돌던 서울의 평균 전세가율도 지난달에는 44%로 높아져 2006년 11월(43.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역시 11월 전국 평균 전세가율도 56.8%로 2006년 4월의 57.1% 이후 55개월 만에 최고조에 달했다.

집값 조사가 시작된 1986년부터 올해까지 24년간의 11월 전세가격 변동률은 평균 서울 -0.5%, 전국 -0.2%로 전형적인 비수기임을 뒷받침하고 있으나, 올해는 서울 0.8%, 전국 1%로 ‘이상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매매·전세가격의 비율이 어느 정도가 적절한지 정답은 없지만, 여전히 격차는 큰 편으로 보인다”며 “전셋값 상승세가 매맷값을 끌어올리는 요인이 될지는 좀 더 시장 상황을 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