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그룹은 6일 현대건설 인수자금과 관련해 채권단이 프랑스 나티시스 은행과의 대출계약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것에 대해 “인수합병(M&A) 역사상 유례없는 일”이라며 거부의사를 밝혔다.
현대그룹은 이날 입장 발표자료를 통해 “나티시스 은행 계좌에 있는 돈은 대출금이고 현대건설의 주식이나 자산이 담보로 제공된 적이 없으며,현대그룹 계열사 주식이 담보로 제공되지 않았고,현대그룹 계열사가 보증한 적도 없다”면서 “이같은 사실은 공시를 통해서 밝혔으며,나티시스 은행의 확인서까지 받아서 재차 확인까지 해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일각에서 제기한 대출확인서 서명자 논란에 대해 “서명자는 나티시스은행 소속 임원이 맞고 단지 넥스젠의 임원을 겸직하고 있을 뿐”이라며 “그런데도 이를 두고 계속 의혹을 제기하는 세력이 있는데,이와 같은 근거 없는 의혹 제기를 중단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동양종금증권의 8천억원 투자와 관련해서는 “풋백옵션이 합의된 적이 없다”면서 “이미 입찰서에서 밝힌 대로 동양종금이 풋백옵션을 요구해오면 이를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사실이 진실임을 주식매각 양해각서(MOU)에 명문으로 보장하고 이를 증명하는 나티시스 은행 발행의 확인서까지 제출했음에도 채권단이 계속해서 대출계약서를 제출하라는 것은 M&A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로,매우 부당하고 불합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대그룹은 또 “채권단이 법과 MOU 및 입찰규정을 어기고 부당하고 불합리한 요구를 지속해 이번 매각작업이 표류하게 된다면 (현대건설에) 투입된 공적자금 8천500억원을 회수할 기회를 놓치는 것일 뿐만 아니라 4조6천억원의 매각차익을 실현할 기회까지 스스로 포기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현대그룹은 “국민의 세금으로 이뤄진 공적자금의 회수는 발생 불확실한 ‘승자의 저주’보다 훨씬 더 중요함에도 이 같은 우선순위를 혼동하는 공직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개탄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현대그룹은 전략적 투자자로 영입하려다 무산된 독일 M+W에 현대엔지니어링을 매각하려 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독일 M+W그룹이 현대엔지니어링 인수를 강력히 희망했으나,너무 무리한 요구라고 판단돼 이를 거절해 협상이 결렬됐다”면서 “현대그룹은 현대건설 인수 이후 현대엔지니어링을 매각할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현대그룹은 이날 입장 발표자료를 통해 “나티시스 은행 계좌에 있는 돈은 대출금이고 현대건설의 주식이나 자산이 담보로 제공된 적이 없으며,현대그룹 계열사 주식이 담보로 제공되지 않았고,현대그룹 계열사가 보증한 적도 없다”면서 “이같은 사실은 공시를 통해서 밝혔으며,나티시스 은행의 확인서까지 받아서 재차 확인까지 해준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일각에서 제기한 대출확인서 서명자 논란에 대해 “서명자는 나티시스은행 소속 임원이 맞고 단지 넥스젠의 임원을 겸직하고 있을 뿐”이라며 “그런데도 이를 두고 계속 의혹을 제기하는 세력이 있는데,이와 같은 근거 없는 의혹 제기를 중단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동양종금증권의 8천억원 투자와 관련해서는 “풋백옵션이 합의된 적이 없다”면서 “이미 입찰서에서 밝힌 대로 동양종금이 풋백옵션을 요구해오면 이를 협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와 같은 사실이 진실임을 주식매각 양해각서(MOU)에 명문으로 보장하고 이를 증명하는 나티시스 은행 발행의 확인서까지 제출했음에도 채권단이 계속해서 대출계약서를 제출하라는 것은 M&A 역사상 전례가 없는 일로,매우 부당하고 불합리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대그룹은 또 “채권단이 법과 MOU 및 입찰규정을 어기고 부당하고 불합리한 요구를 지속해 이번 매각작업이 표류하게 된다면 (현대건설에) 투입된 공적자금 8천500억원을 회수할 기회를 놓치는 것일 뿐만 아니라 4조6천억원의 매각차익을 실현할 기회까지 스스로 포기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현대그룹은 “국민의 세금으로 이뤄진 공적자금의 회수는 발생 불확실한 ‘승자의 저주’보다 훨씬 더 중요함에도 이 같은 우선순위를 혼동하는 공직자들이 있다는 사실을 개탄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한편,현대그룹은 전략적 투자자로 영입하려다 무산된 독일 M+W에 현대엔지니어링을 매각하려 했다는 일각의 주장에 대해 “독일 M+W그룹이 현대엔지니어링 인수를 강력히 희망했으나,너무 무리한 요구라고 판단돼 이를 거절해 협상이 결렬됐다”면서 “현대그룹은 현대건설 인수 이후 현대엔지니어링을 매각할 계획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