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티시스은행 대출 건에 대한 의혹이 채 가시기도 전에 그동안 뒷말이 무성하던 M+W그룹과의 현대엔지니어링 매각 협의서가 공개되자 현대그룹이 난감해하고 있다.
●현대그룹 당황… 도덕성 상처
현대건설 인수를 놓고 ‘자금력을 확실히 갖춘 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여론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에서 국내 알짜 기업인 현대엔지니어링을 외국기업에 매각하려 했던 사실이 어찌됐든 현대그룹에 악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6일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사업 분야에서 알짜로 소문난 기업”이라면서 “상황이 어떻게 되었건 기업인수 후 알맹이를 팔려고 시도했다는 것 자체로 도덕성에 상처를 입었다.”고 지적했다.
현대그룹은 현대엔지니어링 관련 협의가 지난 9월에 파기된 사안임을 강조하며 현재 진행 중인 현대건설 인수협상과는 별개라며 선을 분명하게 그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M+W그룹에서 재무투자의 대가로 현대엔지니어링 인수를 요구해 왔고 협의 과정에서 지난 8월 31일 협의서에 서명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내부에서 현대엔지니어링 매각에 대한 반발이 제기되자 협의는 무산됐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현대엔지니어링을 매각할 의사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채권단이야말로 입찰규정 등을 어기며 (대출계약서 제출 등) 부당한 요구를 계속하는 것은 8500억원의 공적자금 회수와 4조 6000억원의 매각차익 실현을 스스로 포기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현대차 “철저조사” 표정관리
이에 대해 현대자동차 그룹은 따로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나올 것이 나왔다.”면서 표정 관리에 들어가는 모습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동안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만큼 현대그룹의 인수자금에 대한 출처를 철저하게 밝혀야 한다.”면서 “채권단의 공정한 심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현대그룹의 대출계약서 제출 시한을 5일 연장한 것에 대해서도 “7일 안에 못 냈는데, 또 5일 후라고 낼 수 있겠는가.”라면서 “이제 제출시한 연장은 의미가 없다.”면서 채권단의 결정에 불만을 표시했다.
윤설영·김동현기자
snow0@seoul.co.kr
●현대그룹 당황… 도덕성 상처
현대건설 인수를 놓고 ‘자금력을 확실히 갖춘 기업이 인수해야 한다.’는 여론에 무게가 실리는 상황에서 국내 알짜 기업인 현대엔지니어링을 외국기업에 매각하려 했던 사실이 어찌됐든 현대그룹에 악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6일 “현대엔지니어링은 플랜트사업 분야에서 알짜로 소문난 기업”이라면서 “상황이 어떻게 되었건 기업인수 후 알맹이를 팔려고 시도했다는 것 자체로 도덕성에 상처를 입었다.”고 지적했다.
현대그룹은 현대엔지니어링 관련 협의가 지난 9월에 파기된 사안임을 강조하며 현재 진행 중인 현대건설 인수협상과는 별개라며 선을 분명하게 그었다. 현대그룹 관계자는 “M+W그룹에서 재무투자의 대가로 현대엔지니어링 인수를 요구해 왔고 협의 과정에서 지난 8월 31일 협의서에 서명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하지만 내부에서 현대엔지니어링 매각에 대한 반발이 제기되자 협의는 무산됐다.”고 말했다. 그는 “앞으로도 현대엔지니어링을 매각할 의사는 없다.”고 덧붙였다.
이어 “채권단이야말로 입찰규정 등을 어기며 (대출계약서 제출 등) 부당한 요구를 계속하는 것은 8500억원의 공적자금 회수와 4조 6000억원의 매각차익 실현을 스스로 포기하는 행위”라고 말했다.
●현대차 “철저조사” 표정관리
이에 대해 현대자동차 그룹은 따로 공식적인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러나 “나올 것이 나왔다.”면서 표정 관리에 들어가는 모습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그동안의 의혹이 사실로 드러난 만큼 현대그룹의 인수자금에 대한 출처를 철저하게 밝혀야 한다.”면서 “채권단의 공정한 심사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채권단이 현대그룹의 대출계약서 제출 시한을 5일 연장한 것에 대해서도 “7일 안에 못 냈는데, 또 5일 후라고 낼 수 있겠는가.”라면서 “이제 제출시한 연장은 의미가 없다.”면서 채권단의 결정에 불만을 표시했다.
윤설영·김동현기자
snow0@seoul.co.kr
2010-12-07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