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슨 지분 43.5% 인수… 반도체보다 시장 규모 커
삼성전자가 초음파 의료기기 업체 메디슨을 인수한다. 이로써 삼성은 메디슨의 기존 해외 영업망을 활용해 ‘미래 먹을거리’ 가운데 하나인 헬스케어 분야를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삼성전자는 14일 메디슨의 최대 주주인 칸서스자산운용이 보유 중인 지분을 인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인수 대상은 메디슨 지분 43.5%와 협력업체인 프로소닉 지분 100%다. 인수금액은 3000억원 수준으로, 경쟁업체였던 SK, KT&G 등 5개사 가운데 가장 높은 가격을 써내지 않고도 메디슨 인수자로 낙점됐다.
메디슨은 초음파 진단기 시장에서 국내 1위, 세계 5위권 업체로 전 세계 110개국에 영업망을 확보하고 있다. 삼성전자가 메디슨을 인수하기로 한 것은 차세대 핵심 신수종 사업으로 꼽히는 헬스케어 사업에 대한 육성 의지를 다시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의 경영복귀 직후인 지난 5월 헬스케어 등 신수종 사업에 23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삼성은 지난 4월 엑스레이 장비업체 ㈜레이 지분 68.1%를 인수하고, 6월에는 중소병원용 혈액검사기를 출시하는 등 헬스케어 사업 육성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여 왔다.
삼성이 헬스케어 사업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은 “앞으로 10년 내에 삼성을 대표하는 사업과 제품은 대부분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던 이 회장의 위기의식과 맥이 닿아 있다는 게 재계의 분석이다.
삼성이 헬스케어를 핵심 신수종 사업으로 꼽고 있는 이유는 헬스케어 사업이 반도체보다 시장 규모가 크고 첨단 기술을 필요로 하는 데다 향후 소득 증가와 고령화가 가속화될수록 시장 전망 또한 밝기 때문이다.
삼성은 지난해 말 조직개편을 통해 삼성전자 산하에 신사업추진단을 신설했다. 올해 다시 그룹 조직인 미래전략실을 부활시키고 신사업추진단장이었던 김순택 부회장을 미래전략실 책임자로 앉히면서 신수종 사업 추진에 대해 강한 의지를 피력했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0-12-15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