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눔을 실천하는 기업들] 한국농어촌공사

[나눔을 실천하는 기업들] 한국농어촌공사

입력 2010-12-29 00:00
수정 2010-12-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07년부터 333개 농어촌주택 수리

도시에 비해 주거·복지 등 기초생활 환경이 열악한 농어촌에는 도움의 손길이 간절한 이웃들이 더 많다. 농어민 소득 증대와 삶의 질 향상을 주된 경영가치로 삼는 한국농어촌공사는 소외받는 농어민을 대상으로 특색 있는 사회공헌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2007년부터 시작한 ‘농어촌 노후주택 고쳐주기 사업’이 가장 눈에 띈다. 빠른 속도로 진행 중인 농어촌의 고령화 만큼이나 낡은 주택들도 늘어나고 있다. 개발연대인 1970년대 새마을운동이 한창일 때 지어진 슬레이트 지붕 가옥이 농어촌 주택의 30%에 이른다. 수리 비용 등 경제적인 어려움도 문제지만, 노인들만 사는 가구의 경우 조금만 손을 보면 될 일도 어쩔 수 없어 내버려두는 경우가 다반사다.

이미지 확대
홍문표(왼쪽) 사장 등 농어촌공사 임직원들이 지난해 9월 충남 예산에서 낡은 주택 고쳐 주기 활동을 벌이며 집 외벽에 페인트를 칠하고 있다. 농어촌공사 제공
홍문표(왼쪽) 사장 등 농어촌공사 임직원들이 지난해 9월 충남 예산에서 낡은 주택 고쳐 주기 활동을 벌이며 집 외벽에 페인트를 칠하고 있다.
농어촌공사 제공
공사는 2007년 재단법인 다솜둥지복지재단을 설립해 결손가정과 빈곤·저소득 가정, 의지할 곳 없는 노인 등을 대상으로 오래된 지붕이나 부엌, 화장실, 거실 등을 수리해주는 봉사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재원은 농어촌공사 임직원 4000여명이 매달 내는 후원금(1구좌 2000원)과 후원단체 출연금으로 조성된다. 올해 예산은 8억원이다. 출범 첫해인 2007년 37가구의 낡은 시설을 새롭게 단장한 데 이어 2008년에는 38가구, 2009년 113가구의 낡은 주택을 수리했다. 올해도 공사 임직원과 14개 대학 340여명의 건축관련 전공 자원봉사 대학생, 건축 전공 교수 등 1000여명이 참여해 145가구의 노후주택을 수리했다.

농어촌공사는 늘어가는 다문화 가정을 위한 지원도 아끼지 않고 있다. 결혼이주여성들이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리고 동화될 수 있도록 출산여성의 육아비 지원과 한글 및 정보화 교육 등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있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12-29 4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