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4.2% 전망”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4.2% 전망”

입력 2011-01-03 00:00
수정 2011-01-03 07: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5%를 넘지 못할 것이라는 국제기구의 전망이 3일 나왔다.

유엔 아태경제사회위원회(ESCAP)는 ‘아시아.태평양 경제.사회 조사 전망” 보고서에서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2010년에 전년 대비 6.1%를 기록한 데 이어 올해에는 4.2%로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런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같지만 기획재정부가 목표로 내세운 5% 내외와는 큰 차이가 난다. 한국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성장률을 4.5%로 전망하고 있다.

ESCAP의 낮은 전망치는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올해 유럽 재정위기로 침체에 빠질 위험은 적지만 여전히 글로벌 경제 불안에 따른 대외 불확실성이 크다는 판단 때문이다.

ESCAP는 “중장기적으로 선진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면서 “이를 위해 역내 수출 증대를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고 투자 확대를 통해 내수 수요를 증가시켜야 한다”고 조언했다.

올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 4.2%는 ESCAP의 신흥 12개국 중 파키스탄에 이어 가장 낮은 것이다.

올해 성장률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 아태 지역 신흥국은 중국(9.0%)이며 다음으로 인도(8.7%), 인도네시아(6.5%), 방글라데시(6.2%), 카자흐스탄(5.5%), 말레이시아.싱가포르(5.0%), 필리핀(4.6%), 태국(4.5%), 홍콩(4.3%), 한국, 파키스탄(2.8%) 순이었다.

지난해 한국의 성장률 6.1% 또한 아태 지역 신흥국과 비교하면 높은 편이 아니었다.

지난해 경제성장률은 싱가포르가 14.0%로 추정됐으며 중국(9.8%), 인도(8.7%), 태국(7.5%), 말레이시아(6.8%), 필리핀(6.3%)도 한국보다 높았다.

재정부 관계자는 “원유 등 원자재 가격의 상승세가 경제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으나 현재까지 전반적인 경제 추세를 볼 때 올해 정부 목표치인 5% 내외를 달성하는 데는 큰 지장이 없는 걸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