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보험지급액 최대 600억弗 넘을듯

日 보험지급액 최대 600억弗 넘을듯

입력 2011-03-16 00:00
수정 2011-03-16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동일본 대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보험 청구액이 최대 600억 달러(약 68조원)를 넘어설 것이라고 AP통신이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다. 이는 지진으로 인한 보험금 지급액으로는 최고치이며, 자연재해로는 두 번째 수준이다.

영국 투자은행 팬무어고든의 애널리스트 배리 콘스는 지난 14일(현지시간) “쓰나미로 인해 (기존 지진 발생 때와 비교해) 지급액이 커질 것”이라며 보험업계 손실액이 60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다른 전문가들은 100억~500억 달러로 다소 낮은 예상치를 제시하면서도 “액수는 더 높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당초 350억 달러로 추정했던 미국의 리스크 분석회사 AIR월드와이드도 “아직은 지진 여파의 초기 단계”라며 보험금이 더 늘어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자연 재해로 인한 사상 최대 보험금이 청구된 것은 2005년 미국을 강타한 허리케인 카트리나 발생 때다. 당시 보험 청구액은 물가 상승분을 반영하면 710억 달러에 이른다. 지진·쓰나미로 인한 지급액만 따지면 1994년 캘리포니아 대지진 발생 당시 153억 달러(물가상승분 적용 시 225억 달러)가 최대치이다. 일본은 지난 1964년 니가타 앞바다에서 발생한 리히터 규모 7.5의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자 2년 뒤 지진보험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고 지진보험을 도입했다.

하지만 후쿠시마 원전은 보험금 지급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다고 업계는 전했다. 21개 보험사로 구성된 미국핵보험(ANI)의 법무 자문위원인 마이클 카스는 도쿄 전력과 재보험사 간 계약에서 지진과 쓰나미로 인한 피해는 보상 대상에서 빠져 있다고 밝혔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2011-03-16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