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대지진후 亞시장 재편 전망
동일본 대지진 이후 아시아·태평양의 에너지시장이 개편될 전망이다. 대지진으로 일본의 정유시설이 파손된 데다 원전 사태로 원자력에 대한 불신이 증폭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파괴된 후쿠시마 원전은 일본 전체 전기 생산량의 25%를 생산한다.국제 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18일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 등 아·태지역에서 주목해야 할 에너지 기업을 소개했다. 우선 원자력에 대한 불신으로 액화천연가스(LNG)와 발전소용 석탄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물량 보유량이 많은 호주가 첫 수혜국이다.
무디스에 따르면 호주는 전세계 LNG 생산가능량의 50% 이상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LNG 회사들이 일본, 중국 등에 장기계약으로 대규모 물량을 공급하고 있기 때문에 현물시장에서 LNG를 팔 수 있는 곳은 그리 많지 않다. 무디스는 이 점에서 개발계획에 대한 자금모집이 아직 끝나지 않았거나 장기 계약에 묶여 있지 않은 회사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일본에서 쓰이는 발전소용 석탄은 호주 외에 인도네시아도 주요 수출국이다. 일본은 이미 세계 최대 석탄 수입국인데, 원전 사태와 정유시설 일부 훼손까지 겹쳐 석탄 수요가 더욱 급증할 전망이다.
이번 대지진으로 일본의 석유정제시설도 피해를 입었다. 일본의 정제용량은 아시아 사용량의 9%, 세계 사용량의 2% 이상을 차지한다. 특히 일본은 매년 에탄올을 460만t 생산했는데 이번 지진으로 생산이 중단됐다. 이 점에서 무디스는 SK이노베이션, GS칼텍스는 물론 에쓰오일 등이 공급이 감소한 석유 정제제품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낼 것이라고 지적했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03-1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