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7.3%↑… 9개월째↑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가 9개월째 상승세를 지속하면서 2년 4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현재 할당관세율이 2.5%인 밀가루에 대해 무관세가 적용된다.

8일 한국은행의 ‘2011년 3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보다 7.3% 올랐다. 2008년 11월의 7.8% 이후 가장 높은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석유제품 및 화학제품, 1차 금속제품 등 공산품을 중심으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공산품 가격은 전년 같은 달에 비해 9.1% 상승했다. 항목별로 석유제품(22.1%), 화학제품(16.3%), 1차 금속제품(20.7%) 등이 골고루 올랐다. 특히 은 가격이 전년 동월보다 106.7% 상승세를 기록, 지난해 가격의 2배나 됐다.
정부가 특별관리에 들어간 먹거리와 직결된 농림수산품은 전월에 비해 0.1%, 전년 동월에 비해 16.2% 상승했다. 1월(26.6%)과 2월(20.8%)에 비해 상승률이 다소 완화되며 일부 품목 가격이 안정세로 돌아서기도 했지만, 1년 전보다 76.4%나 값이 치솟은 돼지고기처럼 폭등한 품목도 있다. 돼지고기 외에 마늘(129.9%), 무(50.1%), 건고추(49.4%), 계란(23.5%), 물오징어(31.1%) 등이 1년 전보다 20%가 넘는 상승세를 보였다. 과실류도 전년 동월보다 58.4% 올랐는데, 사과(44.7%)나 배(44.3%) 같은 주요 과일 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서비스 가격도 국제유가 상승 여파로 전년 동월보다 2.1% 올랐다. 전세·관광버스료(26.6%)와 냉동·냉장창고료(11.4%)의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전력·수도·가스 요금도 1년 전보다 3.2% 올랐다.
한편 임종용 기획재정부 차관은 이날 오후 정부 과천청사에서 물가안정대책회의를 가진 뒤 “세계적으로 이상기온 등으로 곡물 작황이 부진한 가운데 곡물가격 상승으로 밀가루, 빵 등으로 이어지는 가공식품 가격 상승이 불가피하다.”며 밀가루에 무관세 적용방침을 밝혔다. 또 유류세 인하의 실효성 여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정유사의 주유소에 대한 기름 공급가격 인하가 실제 소매가격 인하로 연결되는지에 대한 현장점검도 강화할 방침이다.
홍희경·이경주기자 saloo@seoul.co.kr
2011-04-09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