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수입차업체 기부엔 ‘왕소금’

국내 수입차업체 기부엔 ‘왕소금’

입력 2011-04-14 00:00
수정 2011-04-14 00:4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벤츠·폴크스바겐 年 기부액 차 한대 값도 안돼

국내 수입차업체들이 속속 매출 1조원 시대를 열고 있지만 어려운 이웃에게는 인색하다는 비난을 받고 있다. 1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BMW코리아와 메르세데츠-벤츠코리아는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이들 업체는 대부분 이익금을 모기업에 배당하고 어려운 이웃은 외면해 돈벌이에 급급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벤츠코리아는 지난해 1조 1265억원의 매출액을 올렸다. 전년 대비 66.8%나 급성장한 것이다. 이에 따른 순이익금 235억원의 90%가 넘는 212억원을 모기업에 배당했다. BMW코리아도 지난해 매출이 1조 945억원으로 60% 가까이 상승했다. 당기순이익이 479억원이며 이 중 62.5%인 300억원을 모기업에 배당했다.

이미지 확대
폴크스바겐코리아도 지난해에 전년 대비 39.0% 늘어난 7932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수입차 ‘빅3’에 진입했다. 이런 높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모기업 배당에만 치중하고 국내 기부금 등은 쥐꼬리만큼이었다.

벤츠코리아는 2009년에는 3020만원을 기부했고, 지난해는 급성장세에도 불구하고 기부금이 3056만원에 그쳤다. 폴크스바겐코리아는 2009년 6312만원에서 지난해에는 4200만원으로 오히려 30% 이상 줄였다. 두 회사의 기부금은 자신들이 판매하는 차 한대의 가격에도 미치지 못하는 금액이다.

한준규기자 hihi@seoul.co.kr

2011-04-1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