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모르는 ‘명품 사랑’

금융위기 모르는 ‘명품 사랑’

입력 2011-04-25 00:00
업데이트 2011-04-2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루이뷔통 등 5년연속 매출·영업이익 두자릿수 성장

글로벌 금융위기에 경제 불황이 이어지고 있지만 루이뷔통 등 상당수 해외 명품업체들은 한국 시장에서 5년 연속 두 자릿수 매출 및 영업이익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에 따르면 지난해 루이비통코리아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4273억원과 523억원으로 2009년 대비 14.8%와 25.1% 증가했다. 샤넬과 함께 프랑스 대표 명품으로 꼽히는 루이뷔통의 매출액은 최근 5년 동안 3배 가까이 늘었다. 2006년 1212억원이었던 매출액은 연간 최저 14.8%에서 최고 66.4%까지 성장을 거듭했다. 2006년 113억원이었던 영업이익도 2006년 79.6%, 2007년 113.5%, 2008년 28.3%, 2009년 35.1%, 2010년 25.1% 등 고공 행진을 벌였다.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구찌·페라가모·펜디·에르메네질도 제냐, 스위스 명품 브랜드 롤렉스 등도 국내 소비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았다. 구찌그룹코리아의 2006년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1402억원과 77억원이었으나 지난해 2731억원과 431억원을 기록했다. 최근 5년 동안 매출액은 94.8%, 영업이익은 461.6%로 불어났다. 페라가모코리아도 매출액이 478억에서 821억원으로, 영업이익은 106억원에서 156억원으로 뛰었다. 2006년 영업손실 2억 1000만원이었던 펜디도 지난해 28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에르메네질도제냐코리아의 매출액은 5년 동안 56.9%, 영업이익은 58% 증가했다. 한국로렉스도 5년 사이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각각 149.1%, 79.8% 뛰었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4-25 1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