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임진왜란 때 일본에서 전래된 것으로 알려져 온 고추가 한반도에 수천년전부터 있었던 자생식물이라는 주장이 9일 제기됐다.
한국식품연구원의 권대영 박사 연구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경란 연구팀은 최근 한국의 고추 유래에 대해 밝힌 ‘고추이야기’라는 책을 발간했다.
권 박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고추의 일본 전래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면서 “고추는 수천년전부터 한반도에 있었던 자생식물”이라고 주장했다.
권 박사는 “전세계에 여러 가지 고추 품종이 있는데 한국 고추는 만주, 키르키즈스탄, 내몽고, 헝가리 등의 지역에 있는 것과 같은 품종이지만 태국·인도네시아의 ‘만초’, 티벳·인도의 ‘번초’, 아프리카나 중남미 고추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에는 원래 고추가 없었다”면서 “일본의 ‘대화본토’, ‘물류칭호’ 등의 책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서 ‘고려호초’라고 불리는 고추를 일본으로 들여왔다고 기록돼 있다”고 밝혔다.
권 박사는 “2천300년전에 쓰여진 중국 고서 ‘시경’에 이미 김치에 대한 기록도 있고, 서기 400년께 기록에는 고추장을 의미하는 ‘초장’에 대한 기록이 있다”면서 “이런 점도 고추가 한반도에 자생했던 식물임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 ‘고추의 일본 전래설’을 토대로 ‘우리나라 김치 역사가 100년 밖에 안된다’, ‘고추장도 원래는 후추로 만들었는데 나중에 고추장이 됐다’, ‘임진왜란 전에 고추를 재배했다는 기록은 산초를 재배했다는 기록이다’ ‘고추는 일본말 코쇼에서 왔다’ 등의 주장이 있었는데, 모두 허황된 얘기”라고 반박했다.
그는 “200여개가 넘는 옛 문헌과 고서를 찾아본 결과 ‘고추의 일본전래설’이 과학적이지 못하고 모순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한국식품연구원의 권대영 박사 연구팀과 한국학중앙연구원 정경란 연구팀은 최근 한국의 고추 유래에 대해 밝힌 ‘고추이야기’라는 책을 발간했다.
권 박사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고추의 일본 전래설’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면서 “고추는 수천년전부터 한반도에 있었던 자생식물”이라고 주장했다.
권 박사는 “전세계에 여러 가지 고추 품종이 있는데 한국 고추는 만주, 키르키즈스탄, 내몽고, 헝가리 등의 지역에 있는 것과 같은 품종이지만 태국·인도네시아의 ‘만초’, 티벳·인도의 ‘번초’, 아프리카나 중남미 고추와는 다르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에는 원래 고추가 없었다”면서 “일본의 ‘대화본토’, ‘물류칭호’ 등의 책에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조선에서 ‘고려호초’라고 불리는 고추를 일본으로 들여왔다고 기록돼 있다”고 밝혔다.
권 박사는 “2천300년전에 쓰여진 중국 고서 ‘시경’에 이미 김치에 대한 기록도 있고, 서기 400년께 기록에는 고추장을 의미하는 ‘초장’에 대한 기록이 있다”면서 “이런 점도 고추가 한반도에 자생했던 식물임을 뒷받침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금까지 ‘고추의 일본 전래설’을 토대로 ‘우리나라 김치 역사가 100년 밖에 안된다’, ‘고추장도 원래는 후추로 만들었는데 나중에 고추장이 됐다’, ‘임진왜란 전에 고추를 재배했다는 기록은 산초를 재배했다는 기록이다’ ‘고추는 일본말 코쇼에서 왔다’ 등의 주장이 있었는데, 모두 허황된 얘기”라고 반박했다.
그는 “200여개가 넘는 옛 문헌과 고서를 찾아본 결과 ‘고추의 일본전래설’이 과학적이지 못하고 모순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