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변동 없어도 민간소비는 줄어”

“집값 변동 없어도 민간소비는 줄어”

입력 2011-05-14 00:00
업데이트 2011-05-1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년차 0.82%·2년차 1.50%↓



집값이 하락할 때는 물론이고 변동이 없을 때도 민간 소비는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영일 연구위원 등이 발표한 ‘주택가격의 장기 침체에 따른 자산효과’라는 논문에 따르면, 집값이 2년간 매년 10% 하락한 뒤 3년차부터 5.79%의 상승률(2000~09년 연간 평균치)을 회복한다고 가정할 때 민간 소비는 1년차에 2.51%, 2년차에 4.54%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은 민간소비가 국내총생산(GDP)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0~55%임을 감안하면 집값 10% 하락은 GDP를 1년차에 1.3~1.4%, 2년차에 2.3~2.5% 축소시키는 것으로 분석했다. 집값의 변동이 없을 때도 민간 소비는 1년차에 0.82%, 2년차에 1.50%씩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2000년 이후 집값이 매년 평균 5.79% 상승했기 때문에 소비 주체들은 가격 변동이 없어도 소득이 줄었다고 생각할 것”이라면서 “이것이 소비 감소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논문은 집값 하락에 주택담보대출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 이자부담 증가 등으로 민간소비가 위축되는 폭이 더 커질 것으로 분석했다. 집값 변동이 없고 금리만 2000~2009년 평균치(6.21%)보다 2% 포인트 오를 경우 민간소비는 1년차에 1.67%, 2년차에 1.98% 감소한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5-14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