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상 횡포에 마늘농민 울상

중간상 횡포에 마늘농민 울상

입력 2011-05-27 00:00
업데이트 2011-05-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마늘값 폭등은 중간상인의 이익이지만 급락은 농민의 손해입니다.”

25일 만난 제주시 조천읍 함덕리의 농협관계자는 한숨을 쉬었다. 마늘 가격은 지난해보다 30%가 급등했지만 수확기를 앞두고 오히려 가격 폭락을 걱정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농가가 이듬해 물량을 밭떼기로 계약하기 때문에 가격 폭락은 농가의 손해로 돌아온다. 농민들은 가격 폭락의 이면에 중간상인의 횡포가 숨어 있다고 주장했다. 제주도는 연간 30만 1000t(전국 생산량의 18%)의 마늘을 생산하는 지역이다.

이달 마늘 도매 가격은 깐마늘 1㎏에 6523원으로 지난해 5월 5009원보다 30.2%나 급등했다. 지난해 말에는 7000~8000원대를 오가기도 했다. 하지만 이 이익은 고스란히 중간상인의 몫이다.

반면 마늘 수확기인 6월이 되면 마늘 가격은 급락하기 일쑤다. 마늘 물량이 시중에 많아지는 것이 주요 원인이지만 농민들은 거대 중간상인들이 수확기를 앞두고 마늘 물량을 풀어 가격을 인위적으로 떨어뜨린다고 주장한다.

마늘 농사를 짓는 김모(55)씨는 “경상도 지역에 5대 거상이 유명한데 이들이 저장하는 물량은 농협의 몇배에 이른다.”면서 “이들이 물량을 풀면 농협의 비축능력으로는 당해내지 못한다.”고 말했다.

가격이 내리면 거대 중간상인들은 농협이 농민과 밭떼기 계약을 하길 기다린 후 ㎏당 100~200원 높은 가격을 제시해 기존 계약을 파기하고 자신들과 계약하도록 유도한다. 이후 시중에 마늘을 풀지 않으면 가격은 오르는 구조다.

이를 아는 정부도 올해 4월까지 1만 4400t의 마늘을 수입해 5537t은 시중에 내놓지 않고 비축했다. 하지만 이번에는 민간 수입상이 정부의 전략을 이용해 이익을 얻기도 한다. 유통업체 관계자는 “사실 유명 민간 수입상 중 일부는 국가 수입 업무를 하던 기관의 퇴직자들”이라면서 “이들은 정부의 가격 유지 전략을 틈타 물량을 내놓아 수익을 얻기도 한다.”고 말했다.

안정적 가격이 형성되지 않으니 소비자도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실제 지난해 5월부터 8월까지 3개월간 깐마늘 도매가격은 ㎏당 3311원이 올랐지만 지난해 8월부터 올해 5월까지 9개월간 1797원이 떨어졌을 뿐이다. 오를 땐 가파르지만 내릴 땐 밋밋한 셈이다.

정부는 정밀한 국내·외 농수축산물 생산 물량 관측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지만, 농민들은 현실적인 방법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 농민은 “농민들이 자발적으로 농협과 계약해 유통상인들이 물량으로 가격 결정에 끼어드는 것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제주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5-27 1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