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뛰는 대기업·중소기업] 상생은 윤리경영 넘어 미래 경쟁력 걸린 생존 문제 대기업은 中企에 도약기회 주고 혁신 자양분 받아

[함께 뛰는 대기업·중소기업] 상생은 윤리경영 넘어 미래 경쟁력 걸린 생존 문제 대기업은 中企에 도약기회 주고 혁신 자양분 받아

입력 2011-05-27 00:00
업데이트 2011-05-27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이 동반성장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소모성 자재 구매대행(MRO) 사업 중 중소기업 영역에서 손을 떼겠다.”고 밝히는 등 상생의 패러다임이 근본적으로 바뀌고 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은 더 이상 대기업의 윤리경영 차원의 문제가 아닌 기업의 미래 경쟁력 확보가 걸린 생존의 문제다. 단지 협력업체의 생존만이 아닌 대기업과 협력업체를 중심으로 한 산업계 전체의 ‘생태계’가 중요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스마트폰 시장을 이끌고 있는 애플의 성공 비결 가운데 하나가 바로 애플-개발자-이용자 간 조화로운 생태계 구축에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애플은 애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앱) 개발자들에게 앱 판매 수익의 70%를 배분한다. 자연스레 개발자들은 다른 업체보다 높은 수익을 보장하는 앱스토어로 몰려든다. 이로써 더욱 다양하고 혁신적인 앱이 넘쳐나고 이용자도 늘어난다.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애플은 개발자들에게 기회의 땅을 제공하고, 이들로부터 혁신의 자양분을 공급받게 된다. 하지만 최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국내 한 TV 프로그램의 PD는 기자들에게 “음원 수익의 절반을 음원과 무관한 업체들이 가져간다. 이렇게 횡포가 심한 줄 몰랐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정부와 사회가 나서서 동반성장을 외치지만 아직도 갈길이 먼 우리의 현실을 보여 주는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대기업의 변화는 누구보다 총수의 의지가 중요하다. 때로는 비판도 받지만 국내 대기업의 오너십은 단기적 손익에 매달리지 않고 멀리 내다보면서 기업이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일조한 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오너십의 장점이 상생협력과 결합하면 경쟁력 있는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다. 당장은 상생협력으로 인해 비용이 올라가고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산업의 토양이 튼튼해지면 혁신적인 강소기업이 많아지고 대기업의 경쟁력 제고에도 큰 보탬이 된다. 중소기업 역시 끊임없는 혁신과 기술개발을 통해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춰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

류지영기자 superryu@seoul.co.kr

2011-05-27 1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