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1200억원 저축銀 해외 PF 점검

금감원, 1200억원 저축銀 해외 PF 점검

입력 2011-05-31 00:00
업데이트 2011-05-31 0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금융감독원이 저축은행의 해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일제 점검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31일 “저축은행들이 보유한 해외 부동산 PF 대출에 대한 점검에 착수했다”며 “사업성이 나쁘다고 판단되는 곳은 구조조정기금으로 매입하겠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각 해외 사업장의 인·허가 관련 서류와 사진자료 등을 제출받아 실제로 사업이 진행되는지, 사업이 얼마나 진척됐는지 등을 점검하고 필요하면 현장 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다만, 이들 사업장은 대부분 은행을 비롯한 다른 금융기관과 컨소시엄 형태로 대출이 이뤄져 부산저축은행처럼 특수목적법인(SPC)을 세워 불법 대출했을 개연성은 크지 않다고 금감원은 덧붙였다.

영업정지된 부산저축은행그룹 5개 계열을 제외하면 지난해 말 기준으로 국내 저축은행이 해외에 보유한 부동산 PF 대출채권은 1천235억원으로 집계됐다.

동남아시아를 비롯한 개발도상국의 도로나 항만 등 인프라 건설과 관련한 공공 발주 물량이 많고, 캐나다 등지에서 주상복합건물을 짓는 등 주택건설 물량도 일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들 해외 부동산 PF 채권의 상당수가 이미 부실해졌거나 사업이 삐걱거리고 있다는 점이다.

금감원이 한나라당 정옥임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과거 ‘8.8 클럽’에 속한 12개 우량 저축은행의 해외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949억원으로, 연체율이 73.4%에 달할 정도로 부실이 심각해진 상황이다.

금감원은 해외 부동산 PF 대출이 약 4천억원에 달하던 부산저축은행 계열의 매각이 추진되는 만큼 나머지 저축은행의 PF 대출이 부실해져도 전체 저축은행의 건전성에 큰 영향은 주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 의원은 그러나 “현재 남아있는 저축은행의 해외 PF 대출도 앞으로 부산저축은행처럼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며 “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해외 부동산 PF에 대한 별도의 감독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