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주인 선호와 전셋값 폭등 맞물려 월세 ‘강세’
지난 10년간 전셋집은 9% 줄어든 반면 월셋집은 72%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써브는 2000~2010년간 서울시 ‘점유 형태별 주택현황’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0년 50만2천623가구였던 월세(보증부ㆍ무보증ㆍ사글세) 주택이 10년만에 36만247가구 늘어나 86만2천870가구를 기록했다고 28일 밝혔다.
월세 가구수가 늘면서 전체 임대주택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율도 2000년 28%에서 지난해 43%로 급증했다. 반면 동기간 전셋집은 오히려 11만8천616가구(9%)가 사라져 115만2천715가구에 그쳤다.
임대 형태별로는 일정액의 보증금을 내고 매달 월세를 지급하는 보증부 월세가 44만5천236가구에서 78만2천696가구로 76% 증가해 가장 많이 늘어났다. 보증금 없이 월세만 내는 무보증 월세도 2만4천533가구 늘어 3만6천370가구가 됐다.
한편 임대기간만큼의 월세를 한꺼번에 지불하는 사글세는 2만1천17가구에서 1만9천271가구로 소폭 감소했다.
서울에서 월세가 가장 많이 늘어난 지역은 관악구로 2000년 2만5천357가구에서 2010년 8만1천80가구를 기록해 무려 223%가 증가했다. 이어 동작구(109%)와 은평구(98%), 도봉구(94%), 마포구(92%) 등이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렸다.
부동산써브 나인성 연구원은 “지난 10년간 서울 집값과 전셋값이 크게 오르면서 월셋집 비중이 높아졌다”면서 “전셋값 폭등과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가 맞물려 월셋집은 당분간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