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갤럭시는 30대 대기업男,아이폰은 20대 전문직女”

“갤럭시는 30대 대기업男,아이폰은 20대 전문직女”

입력 2012-02-14 00:00
수정 2012-02-14 10: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SK마케팅앤컴퍼니 스마트폰 이미지 조사

소비자들은 삼성전자의 갤럭시 시리즈 스마트폰에 대해 30대 대기업 남성 이미지를, 애플의 아이폰에 대해선 20대 전문직 여성 이미지를 연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K마케팅앤컴퍼니의 소비자리서치패널 ‘틸리언’은 성인 1천38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 다수가 갤럭시 시리즈는 30대 초반(24.8%)의 대기업 사무직(25.4%) 남성(71.8%)의 느낌이고 아이폰은 20대 초중반(43.2%) 디자인 관련 전문직(18.2%) 여성(51.7%)의 느낌이 난다고 답했다고 14일 밝혔다.

이와 같은 제품 이미지는 실제 구매에도 영향을 미쳐 스마트폰 사용자 중 갤럭시 시리즈를 사용하는 남녀 비율은 각각 50.6%와 45.3%로 남성이 많았고, 아이폰을 사용하는 남녀 비율은 19.8%와 22.9%로 여성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19~29세 스마트폰 사용자 중 갤럭시 시리즈 사용자가 42.2%였지만 50세 이상에선 55.9%로 높았다.

스마트폰 보유 비율은 갤럭시 시리즈가 전체의 47.8%로 가장 높았고 아이폰은 그 절반 이하인 21.4%에 그쳤다. 이어 팬택 스카이(11.3%)와 LG전자 옵티머스(8.8%) 순이었다.

반면 스마트폰의 만족도는 아이폰이 79.6%로 71.1%의 갤럭시 제품보다 높았다. 지인에게 추천할 의사를 물었을 때도 아이폰(77%)이 갤럭시 시리즈(66.8%)보다 비율이 많았고 재구매 의사도 아이폰(60.7%)이 갤럭시 제품(53.3%)보다 높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