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신용자 등급 조정 어떻게 이뤄지나

저신용자 등급 조정 어떻게 이뤄지나

입력 2012-07-10 00:00
수정 2012-07-10 1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융감독원이 개인신용평가사와 함께 개발한 ‘비우량(서브프라임) 신용등급 평가시스템’이 적용되면 저신용자의 대출금리를 전반적으로 낮추는 효과가 있다.

아직 시범 운영 단계라 정확한 인하 폭은 예측할 수 없지만, 신용카드 현금서비스 수수료를 차등화한 사례와 비교하면 10%포인트 이상 금리 인하가 기대된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시스템 개발을 주도한 박용욱 금감원 특수은행검사국장의 10일 브리핑 등을 바탕으로 신용등급 재조정을 문답 형태로 정리했다.

--신용등급 재조정 대상과 방식은.

▲개인신용평가사가 7~8등급으로 매긴 저신용자 450만명이다. 7등급 이하는 사실상 은행 대출을 받지 못하므로 저축은행, 할부금융사, 상호금융사 등 제2금융권 대출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 금리는 최고 연 27~28%에 이른다. 제2금융권을 벗어나 대부업체로 가면 최고 연 39%의 금리를 문다. 이번 시스템은 7~8등급 해당자를 다시 10단계로 재분류하는 것이다. 장ㆍ단기 연체 이력, 대출ㆍ보증 규모, 신용거래 실적 등을 기준으로 삼는다.

--재조정으로 얻는 혜택은.

▲재조정 결과 우량등급(1~3등급)이 나오면 금리가 낮은 은행 대출도 받을 수 있다. 4~7등급이라도 제2금융권에서 받는 대출금리보다 낮아진다. 이들은 기존에 같은 7~8등급이지만 악성 연체가 적거나 신용카드 대금을 꼬박꼬박 갚는 등 비교적 신용 위험이 적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12~13%포인트까지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10%대 금리로 대출받는 셈이다.

재조정 등급이 1~3등급이면 은행들이 프리워크아웃(사전채무조정) 대상자를 선정할 때도 유리하다. 프리워크아웃은 1개월 미만 연체자 가운데 일부를 골라 금리를 깎아주고 원금을 오랜 기간 나눠 갚을 수 있게 하는 제도다.

재조정 등급이 8~10등급이라도 대출금리가 현재 최고 수준보다 높아지지는 않는다.

--금융회사로선 손해 보는 것 아닌가.

▲신용평가의 정확성을 높여 차주(借主)의 신용도에 합당한 대출금리를 매기는 것이다. 금융회사로선 부실 위험과 수익성 예측을 더 잘할 수 있게 된다. 은행들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상품을 개발할 것으로 본다. 얼마나 완성도를 갖출지가 관건이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도 저신용자 중 불량 등급을 빼면 대출자들이 좀처럼 27~28%의 금리를 내려고 하지 않는다. 저축은행들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기존대출의 금리도 조정될 수 있나.

▲기존대출 금리가 조정되는 건 관행상 쉽지 않다. 대출 만기가 돼 갱신할 때 금리를 조정할 수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