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원 구조조정 문제로 노사 간 갈등을 빚었던 쌍용건설이 ‘노사화합 공동 선언문’을 체결하고 회사의 위기상황 극복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이미지 확대
쌍용건설 김석준(오른쪽) 회장과 김성한 노조위원장이 구조조정 최소화와 원가 절감 등의 내용을 담은 노사화합 선언문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쌍용건설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쌍용건설 김석준(오른쪽) 회장과 김성한 노조위원장이 구조조정 최소화와 원가 절감 등의 내용을 담은 노사화합 선언문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쌍용건설 제공
쌍용건설 경영진과 노조는 인위적 구조조정을 최소화하고 원가 절감 등 기업가치 향상에 노력한다는 내용을 담은 노사화합 선언문에 합의했다고 26일 밝혔다. 쌍용건설은 이번 합의를 계기로 조속한 경영 정상화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쌍용건설 관계자는 “향후 강점을 가진 해외사업 강화와 수주 확대를 통해 감원을 최소화함으로써 노조의 협조에 반드시 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한 노조위원장도 “이번 선언은 대화로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노사간 의지 표명”이라면서 “조합원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고용 안정과 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쌍용건설은 회사 정상화를 위한 자구 노력 차원에서 본사 전무급 이상 전원 퇴진을 포함한 임원 50% 감원과 상여금 200% 반납, 각종 소모성 경비 50% 절감 등을 추진해 왔다.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