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큰 도움”

“한류,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큰 도움”

입력 2012-10-16 00:00
수정 2012-10-16 11:3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무협, 수출중소 132개사 조사…”비즈니스에 윤활유 역할”

우리 수출기업들은 케이팝(K-POP) 등 한류가 당장의 수출 증대보다는 장기적인 국가인지도 향상에 큰 도움을 줄 것으로 평가했다.

16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최근 수출중소기업 132개사를 설문조사(복수응답)한 결과 한류 확산이 거시적으로 국가브랜드·인지도 향상(57%)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55.7%)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됐다.

문화적 친밀도가 높아져 비즈니스 의사소통에 윤활유 역할을 할 것이라는 평가(34.7%)도 많았다.

한류가 당장 수출 증대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40.2%)보다는 향후 수출 확대에 기여할 것이라는 전망(54.3%)이 다소 우세했다.

수출마케팅에 도움이 된 한류 콘텐츠로는 TV드라마(31.7%)가 가장 많이 꼽혔고, 케이팝(28.3%), 한류스타(17.6%) 등이 뒤를 이었다.

한류 활용시 문제점으로는 제조업과 문화산업 간 연계 미흡(41%), 정부 지원 부족(21.7%), 일부 지역의 반한류 정서(13.7%) 등이 지적됐다.

수출기업이 접촉한 외국인들은 우리나라 대표 이미지로 IT·문화강국(42.7%)을 언급했고, 한국을 연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제품으로는 김치(47.2%)와 케이팝(32.3%)을 꼽았다.

또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첨단제품(33.6%)과 중저가제품(29.6%) 이미지가 혼재돼 있어 브랜드 이미지 개선을 위한 노력이 좀 더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