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젊은이들이 좋아하는 자동차 브랜드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일본산에서 미국과 한국산으로 점차 이동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고 미국 언론들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의 자동차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에드먼즈’에 따르면 2008년 자동차를 구입한 24~34세 연령층의 소비자들 가운데 50.6%가 토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 브랜드를 선택했으나 지난해에는 그 비율이 42.9%로 낮아졌다.
반면 크라이슬러, 포드,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빅3’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35.4%에서 36.8%로 소폭 상승했다. 또 현대차와 기아차의 경우 2008년 5%에 불과하던 청년층 점유율을 4년 만에 두배인 10%로 끌어올렸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미국의 자동차 전문 시장조사업체인 ‘에드먼즈’에 따르면 2008년 자동차를 구입한 24~34세 연령층의 소비자들 가운데 50.6%가 토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 브랜드를 선택했으나 지난해에는 그 비율이 42.9%로 낮아졌다.
반면 크라이슬러, 포드, 제너럴모터스(GM) 등 미국 ‘빅3’의 점유율은 같은 기간 35.4%에서 36.8%로 소폭 상승했다. 또 현대차와 기아차의 경우 2008년 5%에 불과하던 청년층 점유율을 4년 만에 두배인 10%로 끌어올렸다.
워싱턴 김상연 특파원 carlos@seoul.co.kr
2013-03-26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