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엎친 데 덮친 가계경제 2제] 주식·펀드 개미투자자들 ‘패닉’

[엎친 데 덮친 가계경제 2제] 주식·펀드 개미투자자들 ‘패닉’

입력 2013-06-24 00:00
수정 2013-06-2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모든 펀드 수익률 마이너스, 수익률 하루 새 30% 폭락도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 방침이 전 세계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몰고 온 이후 국내 은행과 증권사 등에는 향후 전망과 대응전략에 대한 투자자들의 문의가 빗발치고 있다.

23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펀드 수익률은 국내형, 해외형, 주식형, 채권형 등을 가리지 않고 이달 들어 줄줄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이달 1일부터 20일까지 국내주식형 펀드의 수익률은 -5.72%, 해외주식형 펀드는 -5.56%를 기록했다. 해외주식형도 브라질(-10.02%), 남미신흥국(-8.25%), 글로벌신흥국(-6.78%) 순으로 낙폭이 컸다. 코스피도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 의장의 발언이 나오기 직전인 19일 1888.31에서 21일 1822.83으로 이틀 새 65.48포인트(3.47%)가 빠졌다.

쌈짓돈을 주식이나 펀드에 투자했던 개미투자자들은 패닉에 빠졌다. 회사원 정모(46)씨는 “한푼 두푼 모아 마련한 3000만원을 종목형 ELS(주가연계증권)에 투자했는데 하루 만에 수익률이 마이너스 30%로 떨어졌다”면서 “오를 때는 기껏해야 7~8% 오르더니 한 번에 와르르 무너져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상품 구조와 환매수수료에 따라 해지 여부를 신중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창현 기업은행 반포자이PB센터 팀장은 “주가지수와 연동한 인덱스 펀드는 하락하다 어느 정도 회복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채권 투자는 당분간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민영 기자 min@seoul.co.kr

2013-06-2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