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투자확대 등 엔저 2차적 파급효과 대비해야”

“日투자확대 등 엔저 2차적 파급효과 대비해야”

입력 2014-01-14 00:00
수정 2014-01-14 15:0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일본 수출기업의 투자 확대 등 엔저(엔화 약세) 현상 이후에 나타날 2차적 영향에 한국 기업들이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영도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4일 중구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국제금융학회와 한국금융연구원 공동 정책세미나 ‘한국경제의 불확실성’에 참석해 이렇게 분석했다.

그는 특히 최근 엔화에 대한 원화 가치가 2013년 초반에 비해 20% 이상 상승한 점이 수출 경쟁력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고 언급했다.

실제로 올해 초 국내 대표 수출기업의 주가가 하락한 것은 이런 우려에 무게를 더한다는 것이 그의 설명이다.

김 연구위원은 “일본기업들이 엔화 약세시기의 수익 증대를 바탕으로 투자확대나 제품단가 인하 등 새로운 전략을 짤 가능성이 높다”며 “2차적인 파급효과에 대한 대비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위원은 또 미국의 양적완화 축소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지만 위험요인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일부 신흥국은 여전히 테이퍼링에 따른 금융불안 가능성이 있고 이런 충격이 예상보다 크면 한국의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다”며 “자본유출 규모에 따라 외환시장도 혼란을 겪을 수 있고, 금리가 급등하면 가계부채 문제에도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김 연구위원은 이런 이유로 올해 금융시장 환경이 지난해보다 크게 나아지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김종기 산업연구원 연구위원도 “신흥국의 성장세 둔화로 수출증가율이 커지기 어렵다”며 “불리한 교역 환경에서 수출을 촉진하려면 시장 환경변화에 대응한 수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FTA 효과를 극대화하고, 중국의 경제구조 변화에 대응해 중국 내수시장 공략을 강화해야 한다”며 “신흥개도국의 도시화·산업화에 맞춰 산업 플랜트 등 복합시스템분야의 수출도 확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내수 활성화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경기 불확실성이 여전히 크므로 경제정책 기본방향을 내수 회복기조 유지에 둬야 한다”며 “예컨대 포화상태인 디지털가전, 스마트폰 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단말 보조금 제도 안정화, 단말 유통구조 개선, 저소득층 디지털TV 지원, 생활가전 렌털 서비스 확대 등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