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례 ‘AI 파동’ 총피해액 6005억

4차례 ‘AI 파동’ 총피해액 6005억

입력 2014-01-20 00:00
수정 2014-01-20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네 차례의 조류인플루엔자(AI) 파동에서 평균 1501억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가장 큰 피해가 발생했던 것은 2008년 4~5월에 발생한 3차 파동으로 총 1020만 4000마리의 가금류가 살처분돼 피해액이 3070억원에 달했다. 국내에 최초로 AI가 발생했던 2003년 12월~2004년 3월 1531억원, 2006년 11월~2007년 3월(2차 파동) 582억원, 2010년 12월~2011년 5월(4차 파동) 822억원 등 지난 10년 동안의 피해액만 총 6005억원에 달한다.

이번 AI 바이러스는 그동안 국내에서 발생한 ‘H5N1’과 다른 새로운 유형의 고병원성 ‘H5N8’여서 전국으로 확산되면 상당한 피해가 예상된다. 박정훈 농식품부 방역관리과장은 “이번 바이러스는 국내에서 최초로 발생한 H5N8여서 피해액을 예측하기 힘들다”면서 “반드시 새로운 바이러스라고 더 큰 피해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농식품부는 철새의 배설물로부터 AI가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오히려 그동안의 양상을 봤을 때 가금류, 축산 관계자 및 차량의 이동으로 바이러스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아 철저한 소독, 방역과 함께 이동 제한을 실시할 방침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AI가 발생한 이후 사료나 병아리를 옮기는 차량 이동으로 바이러스가 퍼지는 경우가 많다”면서 “바이러스 잠복기가 21일가량인 점을 고려해 차량 이동이 많은 설 연휴까지 방역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4-01-20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