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초 日과 TPP 양자협의 개시…참여 결정 ‘초읽기’

3월초 日과 TPP 양자협의 개시…참여 결정 ‘초읽기’

입력 2014-02-19 00:00
수정 2014-02-19 07: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르면 4월께 참여 여부 결정…TPP 협상 진척 속도가 변수

정부가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협상 참여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절차를 서두르는 가운데 일본과의 예비 양자협의 일정이 다음 달 초로 확정됐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19일 “일본 TPP 협상단과 3월 첫째 주 일본에서 양자협의를 하기로 합의하고 현재 세부 일정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은 미국과의 농수산물 개방 협상에 전력을 쏟고 있는 터라 시간적 여유가 많지 않다는 입장이었지만 한국이 다른 11개 협상 참여국과 한 번씩 양자협의를 마침에 따라 더는 늦출 수 없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일본이 애초 한-일 양자 자유무역협정(FTA)을 간절하게 원했던 터라 한국의 협상 참여에 대한 동의를 얻는데 큰 어려움은 없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과의 양자협의를 마치면 TPP 참여 선언을 향한 ‘9부 능선’을 넘게 된다. 일부 협상 참여국에서 추가 양자협의를 요구할 수 있지만 큰 걸림돌은 되지 않을 것으로 정부는 판단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아직 양자협의를 시작하지 않은 일본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가 역내 무역에서 한국의 중요성을 인정하고 협상 참여에 적극 환영하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일본과의 양자협의 일정이 확정됨에 따라 TPP 협상 참여에 대한 정부 결정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는 일본과의 양자협의를 마무리한 직후 12개 협상 참여국과의 양자협의 결과를 국회에 보고하고 특별한 이의제기가 없으면 곧바로 협상 참여를 저울질하는 수순에 들어갈 예정이다.

특히 내달 말께 나올 ‘산업별 영향 분석’ 최종보고서가 정부 판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 내용에 따라 TPP에 대한 업종별 이해관계와 여론의 향배가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 보고서를 토대로 4월 중으로 제2차 TPP 공청회를 열어 여론수렴을 한 뒤 공식 참여 또는 불참을 선언할 계획이다. 이런 절차가 순조롭게 이뤄지면 이르면 4월에라도 결정이 가능하다.

다만, 현재 진행 중인 TPP 협상 진척 속도가 우리 정부의 참여 시기를 결정하는데 변수가 될 수 있다. 미국 정부가 의회로부터 무역협상촉진권한(TPA)을 얻어내느냐도 관건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협상이 지지부진한데 우리가 서둘러 협상 참여를 선언하는 것도 모양새가 이상하다”며 “국내 절차의 속도와 TPP 협상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해야 할 문제”라고 말했다.

김용일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정기총회 참석

서울시의회 기획경제위원회에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일 의원(서대문구 제4선거구, 국민의힘)은 지난 3일 서대문구청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제60회 정기총회에 참석했다. 이날 김 의원은 요식업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역 경제 발전을 위한 지원을 약속했다. 총회에는 이성헌 서대문구청장, 송주범 국민의힘 당협위원장(전 서울시 정무부시장)과 문성호 서울시의원을 비롯한 다수의 구의원이 참석했다. 또한 시장, 구청장, 서울시의회 의장, 구의회 의장 표창 등 공로상 수여식이 진행됐으며, 김 의원은 서울시의회 의장상을 대리 수여했다. 김 의원은 “서대문구 남·북가좌동은 베드타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스토리가 있는 일상 보행권의 부활을 통해 골목 상권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라며 “홍제천, 불광천, 포켓 공원, 남이동길, 거북골길, 해담는 다리 등 이야깃거리가 있는 골목 경제가 살아나야 서민 경제가 살아나고, 서민 경제가 살아나야 비로소 지역 경제가 활성화된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 의원은 신용보증재단을 소관 기관으로 두고 있는 기획경제위원회 소속 위원으로서 함께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thumbnail - 김용일 서울시의원, 한국외식업협회 서대문지회 정기총회 참석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