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금융당국 “KB금융 특별검사”…이사회 책임 끝까지 파헤친다

[단독] 금융당국 “KB금융 특별검사”…이사회 책임 끝까지 파헤친다

입력 2014-11-22 00:00
수정 2014-11-22 03:3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르면 새달 말 이례적 재조사

금융 당국이 ‘KB 사태’와 관련해 다음달 말이나 1월 초쯤 KB금융을 또다시 특별 검사한다. 지난 5월에 이어 8개월 만의 재조사다. 특히 이번 특검은 이사회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전해졌다. 금융 당국이 금융사 이사회를 직접 겨냥해 검사를 벌이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경재 KB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등 일부 사외이사들이 자진 사퇴하고 있지만 이와 관계없이 이사회의 ‘과실’ 여부를 끝까지 파헤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금융 당국 고위 관계자는 21일 “이 의장의 사임이나 다른 이사들 거취와는 별도로 KB사태 때 사외이사를 비롯해 이사회가 제 역할과 기능을 제대로 했는지 검사를 통해 면밀히 확인할 것”이고 밝혔다. 이어 “공정성 차원에서 자리를 떠났다 하더라도 잘못이 있다면 끝까지 책임을 묻겠다”고 덧붙였다.

금융 당국은 임영록 전 KB금융지주 회장과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이 국민은행 주 전산기 교체를 둘러싸고 극심한 내분을 일으키는 동안 사외이사들이 자신을 뽑아 준 임 전 회장에 대한 ‘의리’ 탓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못한 데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는 태도를 보여 왔다. 지난 20일 이 의장이 사의를 표명한 데 이어 김중웅 국민은행 이사회 의장도 이날 조기 사퇴 의사를 밝혔다. 내년 4월이 임기인 김 의장은 그동안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도 시기를 못 박지 않았다. 박재환 국민은행 사외이사는 오는 25일 임기 만료에 맞춰 물러난다.

LIG손해보험 인수 승인 보류 등 금융 당국의 전방위 압박에도 다른 사외이사들은 사실상 조기 사퇴를 거부하고 있어 금융 당국이 ‘검사’ 카드를 다시 한번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다른 분석도 나온다. 금융 당국이 민 특정 후보가 KB 회장직에서 낙마하면서 사외이사 ‘괘씸죄 손보기’에 나섰다는 시각이다. 물론 금융 당국은 펄쩍 뛴다.

검사를 하더라도 이사회의 책임을 가려내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내분 사태에 직접 개입했다는 정황을 입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KB 사태는 임 전 회장 측근으로 분류되는 국민은행 사외이사들과 이 전 행장의 대리전으로 읽힌다. 임 전 회장은 금융 당국의 제재 과정에서 “은행 경영권에 부당하게 개입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사외이사들 역시 ‘주 전산기 교체 갈등이 국민은행 내부 문제였다’고 반박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사태 파악에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은 것은 사외이사들의 상법상 선관주의 의무(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 위반”이라는 주장도 적지 않다.

일각에서는 이사회 책임을 추궁하는 것은 주주들의 몫이라는 점에서 금융 당국의 ‘월권’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금융 당국은 사외이사 내부 비위 여부도 들여다볼 작정이기 때문에 당국이 충분히 관여할 사안이라고 반박한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KB사태 책임소재 규명과 별개로 사외이사들의 배임이나 특혜 여부도 철저히 조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지난 5월에도 당국은 경영진과 사외이사들의 은행 계좌 등을 추적했지만 이렇다 할 비위 혐의를 찾아내지 못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신융아 기자 yashin@seoul.co.kr
2014-11-2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