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 어음부도율 1년만에 최저…수도권 부도액 줄어

11월 어음부도율 1년만에 최저…수도권 부도액 줄어

입력 2014-12-23 12:11
업데이트 2014-12-23 12: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어음부도율이 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11월 중 어음부도율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의 어음부도율(전자결제 조정 전)은 0.12%로 전월(0.19%)보다 0.07%포인트 하락했다.

어음부도율은 작년 11월의 0.12% 이후 최저치다.

어음부도율은 STX와 동양 사태의 여진으로 지난 8월에는 3년4개월 만의 최고치인 0.28%로 치솟기도 했다.

진수원 한은 자본시장팀 과장은 “지난달에는 서울·경기지역 도산 중소기업의 어음부도액이 줄면서 부도율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부도업체 수는 10월 72개에서 지난달 61개로 감소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이 33개에서 26개로 줄고 건설업(15개→7개)과 기타업종(3개→2개)도 감소했다. 그러나 서비스업은 부도업체가 21개에서 26개로 늘었다.

지역별로는 서울(22개→16개)과 지방(50개→45개) 모두 부도업체가 줄었다.

지난달 법원에 설립 등기를 한 신설 법인 수는 6천647개로, 전월보다 949개가 적었다.

신설 법인 수는 베이비붐 세대의 창업과 정부의 창업 지원 등에 힘입어 지난 7월(8천129개)에는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98년 이후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이후 8월 6천551개, 9월 6천400개 등 두 달 연속 줄고서 10월 7천596개로 증가했으나 지난달 다시 감소세로 돌아섰다.

지난달 신설 법인 수는 작년 동월(6천112개)보다는 많아 창업 붐 자체가 움츠러들지는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진 과장은 “11월의 영업일수가 10월보다 하루 준 영향으로 신설 법인 수가 감소했다”고 말했다.

부도 법인 수에 대한 신설 법인 수의 배율은 132.9배로 전월(146.1배)보다 낮아졌다. 부도 법인이 1개 발생할 때 신설 법인은 132.9개가 생겼다는 뜻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