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퇴직연금 다시 보자] “만만디 투자로 DC형 대박…성공적인 은퇴자산 마련 위한 페이스메이커 역할 할 것”

[100세 시대 퇴직연금 다시 보자] “만만디 투자로 DC형 대박…성공적인 은퇴자산 마련 위한 페이스메이커 역할 할 것”

입력 2015-01-04 18:00
수정 2015-01-04 22:1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박용관 하나銀 퇴직연금 팀장

“퇴직연금 운용은 마라톤과 같아요. 초반에 무리하게 속도를 내거나 페이스가 흔들리면 완주하기 어렵죠. 체계적인 준비로 성공적인 은퇴 자산 마련을 도와주는 ‘페이스메이커’ 역할이 하나은행 퇴직연금 사업부의 지향점입니다.”

박용관 하나銀 퇴직연금 팀장
박용관 하나銀 퇴직연금 팀장
하나은행은 퇴직연금 시장이 대기업·확정급여(DB)형 중심에서 중소기업·확정기여(DC)형으로 재편되는 흐름에 발 빠르게 대처한 은행이다. 지난해 11월 말 기준 퇴직연금 적립금 규모는 4조 512억원으로 시중은행 중 6위지만 DC형 부문에서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 DC형 적립금 증가율은 63.4%로 시중은행 중 1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10월 말까지 29.9%의 증가세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DC형 가입자 증가율도 13.78%로 은행업권 1위다. 그 비결로 박용관 하나은행 퇴직연금부 팀장은 ‘높은 수익률’을 꼽는다. 박 팀장은 “퇴직연금은 장기수익률이 중요한데 DC형의 경우 7년 누적 수익률이 주요 은행 중 최고 수준인 33.98%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이는 퇴직연금 시장 점유율 상위 7개 은행 평균 수익률인 33.6%보다 높다.

박 팀장은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퇴직연금 운용에 있어 장기적 대응 방안은 안정성과 수익성을 만족하는 다양한 상품 포트폴리오 구성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나은행은 정기예금으로 대표되는 원리금 보장 상품 외에도 장기적으로 꾸준한 성과를 거둘 수 있는 동시에 변동성이 낮은 수익증권 등을 개발해 DC형 가입자의 선택 폭을 넓히고 있다.

박 팀장은 “퇴직연금은 1년 만기 상품으로만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DC형의 경우) 근로자가 입사해서 퇴사할 때까지 짧게는 4~5년, 길게는 30년까지 계속 운용해야 한다”며 “최종 목표를 지향점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고객이 흔들리지 않고 묵묵히 투자할 수 있도록 조언하고 있다”고 말했다. 시장 변동에 따라 수익률을 좇으며 단기 투자에 나설 경우 수익률 부문에서 실패할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얘기다. 이런 ‘만만디 투자’가 하나은행 퇴직연금 운용의 비결이다. 그는 “금융사들이 수익증권 투자를 권유하면서 자신들은 안전자산 위주로 운용하는 모순적 행태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새해에 외환은행과 통합하게 되면 퇴직연금 총적립금 규모가 6조 5551억원으로 늘어난다. 시장점유율도 4위로 껑충 뛰어오른다. 대기업 위주의 기업고객 기반이 탄탄한 외환은행의 네트워크를 활용하면 시너지 효과가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유미 기자 yium@seoul.co.kr

2015-01-05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