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블로그] 연말정산 파문 보도자료로 덮어라?

[경제 블로그] 연말정산 파문 보도자료로 덮어라?

입력 2015-02-03 00:30
수정 2015-02-03 02: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와 정치권에 큰 사건이 터지면 생뚱맞게 유명 연예인의 스캔들이 터지는 사례가 종종 있지 않습니까. 일각에서는 들끓는 비판 여론과 관심을 돌리기 위해 일부러 연예계 사고를 흘린 것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실제로 사실로 확인된 경우도 더러 있었습니다.

최근 정부가 가장 골머리를 앓고 있는 사건은 ‘13월의 세금’인 연말정산입니다. 후폭풍이 일주일 이상 이어지고 있는데요. 이번 파문의 당사자인 기획재정부도 비판 여론과 관심을 돌리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습니다.

최근 기재부 직원들에게 ‘보도자료 발굴’ 명령이 떨어졌다는 얘기가 나돕니다. 2013년 세법개정안을 만든 기재부 세제실을 휘하에 두고 있는 주형환 1차관이 대변인실을 통해 각 부서에 평소보다 보도자료를 더 많이 내라고 지시했다는 후문입니다. 실제로 지난 1일에는 예정에 없는 보도자료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름 밝히기를 꺼려 하는 기재부 관계자는 2일 “가뜩이나 업무가 많아서 바쁜데 큰일이 터질 때마다 보도자료를 더 만들어 내라고 하니 머리가 지끈지끈 아프다”고 털어놨습니다. 연말정산 비판 기사를 쏟아내는 기자들에게 보도자료를 가득 안겨 관심을 돌리거나 시간이라도 빼앗겠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 이에 대해 기재부 측은 “연말정산 파문을 덮으려는 것이 아니라 열심히 일한 성과를 보도자료로 보여 주는 것”이라며 펄쩍 뛰었습니다.

연말정산 파문의 본질은 정부가 ‘증세는 없다’고 말하면서 뒤로는 세금을 더 걷는 것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였습니다. 곳간에 돈이 넘쳐나는 대기업은 놔두고 만만한 직장인의 ‘유리지갑’에서 야금야금 빼내 가니 누군들 기분이 좋겠습니까. 이번에 밝혀졌듯이 국민들에게 더 이상 ‘꼼수’는 통하지 않습니다.

기재부도 연말정산 파문을 덮을 다른 묘수를 짜내려고 노력하기보다는 등 돌린 국민의 신뢰를 되돌릴 수 있는 제대로 된 연말정산 보완책을 만드는 데 전력을 기울여야 하지 않을까요. 보도자료가 많다고 기자들의 비판 기사가 사라지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세종 장은석 기자 esjang@seoul.co.kr
2015-02-03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