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통위, 우회보조금 가능성 제기”…실적 악화탓 해석도LGU+ 혜택 변경에 이어 두번째…고객서비스 후퇴 우려
SK텔레콤이 작년 11월 도입한 가족결합 할인 프로그램인 ‘T가족포인트’를 폐지하기로 했다.LG유플러스가 ‘가족무한사랑클럽’ 혜택을 사실상 축소한데 이어 SK텔레콤이 해당 제도를 없애기로 함에 따라 이통사들의 고객서비스가 후퇴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온다.
SK텔레콤은 가족결합 할인 제도인 ‘T가족포인트’의 신규 가입을 16일부터 받지 않는다고 13일 밝혔다. 5월 18일부터는 가족결합 고객에 대한 포인트 적립 서비스도 중단한다. 기존에 적립된 포인트는 2017년 5월까지 사용할 수 있다.
T가족포인트는 2∼5인 가족이 SK텔레콤 서비스에 가입하면 단말기 교체나 유료 콘텐츠 구매에 사용할 수 있는 포인트를 제공하는 가족결합 할인 프로그램이다.
사실상 현금이 적립되는 격이어서 신규 가입자를 끌어모으고 기존 고객을 지키는 측면에서 효과가 컸다.
SK텔레콤 측은 “포인트제도 전반에 대한 법률적 이슈를 고려해 더는 해당 프로그램을 유지하기가 어렵게 됐다”고 폐지 배경을 설명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부가 단말기 우회 보조금으로 오해될 소지가 있다며 제도 보완 등을 지속적으로 요구한 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겠냐는 시각이 있다.
SK텔레콤이 프로그램 변경이 아닌, 폐지쪽을 택했다는 점에서 최근 악화된 실적 때문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T가족포인트 운용에 따른 마케팅 비용 상승으로 손실 규모가 예상보다 커졌다는 것이다.
SK텔레콤이 이달 들어 선제로 20개 안팎의 단말기 모델에 대한 공시지원금을 일제히 내린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해석된다.
앞서 LG유플러스는 포인트 용도를 단말기 구매 지원으로 한정한 가족무한사랑클럽이 정부 의견에 따라 서비스 내용을 요금할인으로 변경하되 프로그램 자체는 존속시키기로 한 바 있다.
두 회사와 달리 KT는 유사 제도인 ‘올레 패밀리박스’를 계속 유지한다는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KT 관계자는 “경쟁사처럼 용도가 한정된 별도 포인트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멤버십 포인트를 추가 지급하는 것이라서 큰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본다”며 “제도 변경 또는 폐지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 측은 이통사들의 포인트 제도와 관련해 “용도를 제한하지 말고 고객 선택 폭을 확대하는 쪽으로 운용해달라는 게 정부의 입장”이라라며 “포인트 활용도를 높여 고객 혜택을 강화한다면 정부로서도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