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통화기금(IMF)은 13일 한국 경제에 대해 “하방(하강) 리스크가 확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또 한국의 가계부채는 단기적인 위협은 아니며 급격한 물가 하락 가능성도 크지 않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IMF 협의단은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난 2일부터 한국 정부 등과 가진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했다.
IMF는 한국 경제에 대해 “내수는 여전히 저조하며, 인플레이션은 낮고, 대외 불확실성은 증가했다”며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상 문제가 누적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인구 고령화가 앞으로의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향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 수준이 회복되지 못해 소비위축이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기업이 투자를 보류하면 낮은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경제 회복의 명확한 기미가 짧은 시간 안에 나타나지 않으면 한국 정부가 통화·재정 정책을 쓸 수 있는 여력은 있다고 평가했다.
IMF는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미약한 세계경제 성장률’을 꼽았다. 그러면서도 한국은 외환보유액 등 완충장치가 잘 돼 있기 때문에 충격이 생기더라도 잘 견디고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진단했다. IMF는 가계부채에 대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의 다른 선진국 상황과 달리 소비 목적이 아니라 동일 수준의 가계 금융자산 증가로 이어져 단기적으로 거시 경제를 위협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IMF는 한국 경제에 대해 “내수는 여전히 저조하며, 인플레이션은 낮고, 대외 불확실성은 증가했다”며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상 문제가 누적되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인구 고령화가 앞으로의 주택 가격에 미치는 영향 등으로 향후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 수준이 회복되지 못해 소비위축이 지속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기업이 투자를 보류하면 낮은 경제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경제 회복의 명확한 기미가 짧은 시간 안에 나타나지 않으면 한국 정부가 통화·재정 정책을 쓸 수 있는 여력은 있다고 평가했다.
IMF는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험 요인으로 ‘미약한 세계경제 성장률’을 꼽았다. 그러면서도 한국은 외환보유액 등 완충장치가 잘 돼 있기 때문에 충격이 생기더라도 잘 견디고 넘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진단했다. IMF는 가계부채에 대해 “글로벌 금융위기 직전의 다른 선진국 상황과 달리 소비 목적이 아니라 동일 수준의 가계 금융자산 증가로 이어져 단기적으로 거시 경제를 위협할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2015-02-14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