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 직접 키워먹자”…텃밭용품 판매 ‘쑥’

“채소 직접 키워먹자”…텃밭용품 판매 ‘쑥’

입력 2015-04-01 07:17
수정 2015-04-01 07: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관심 증가로 채소를 집에서 직접 키우는 ‘베란다 텃밭 족’이 늘면서 관련 상품 매출도 급증하고 있다.

1일 인터넷 쇼핑몰 G마켓에 따르면 지난 3월 씨앗과 모종 판매가 작년 같은 기간보다 79% 늘어난 가운데 특히 채소 모종 판매는 408%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채소 씨앗 판매는 26% 늘었고, 아파트 베란다에서 채소를 키울 수 있도록 씨앗과 흙, 화분 등이 세트로 구성된 베란다 텃밭 세트 판매는 39%, 새싹재배기 판매는 9% 각각 증가했다.

같은 기간 묘목 판매는 73% 증가했고, 작물보호제와 비료도 각각 170%, 33%의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이마트에서도 베란다 텃밭세트가 지난 3월에만 1만5천개 이상 팔리면서 원예용품 매출을 이끌었다.

이마트는 “상추, 케일, 청경채, 부추, 고추 등 식용 채소와 라벤더, 로즈메리, 바질 등 식용 허브를 중심으로 씨앗 매출이 늘고 있다”고 전했다.

이유정 이마트 원예 바이어는 “도심 속에서도 전원생활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는 장점 덕분에 텃밭 용품 매출이 늘고 있다”며 “올해에는 특히 더덕과 도라지, 바질 등 집에서 키우기 어려운 채소들도 인기를 끌며 주요 판매 품목으로 떠올랐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