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름 깊은 ‘불황형 흑자’

시름 깊은 ‘불황형 흑자’

강주리 기자
강주리 기자
입력 2015-04-02 00:34
수정 2015-04-02 0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산업부 수출입 동향 발표

유가하락으로 인한 세계 교역 시장의 둔화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수출 순위가 세계 6위로 한 단계 상승했다. 지난달 수출은 470억 달러로 소폭 줄었으나 수입 감소 폭이 훨씬 커 월간 무역수지로는 84억 달러의 사상 최대 흑자를 기록했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이 줄어 발생한 불황형 흑자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4.2% 줄어든 470억 달러, 수입은 15.3% 감소한 386억 달러로 집계됐다. 수출입이 모두 감소했지만 주요 원자재 수입단가 하락으로 수출보다 수입이 큰 폭으로 줄어 무역수지는 지난달에 이어 38개월 연속 흑자를 달성했다.

세계무역기구(WTO)가 지난달 공개한 주요 70개국 수출순위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처음으로 프랑스를 제치고 세계 수출 순위 7위에서 6위로 올랐다. 2010년 이후 5년 만이다. 2008년 12위였던 우리나라 수출 순위는 2009년 9위, 2010년 7위에서 제자리걸음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보다 수출 순위가 높은 나라는 중국, 미국, 독일, 일본, 네덜란드 순이다. 중국을 제외한 독일, 일본, 프랑스 등 주요 국가들은 지난해 10월 이후 수출이 계속 감소했다. 올해 들어 3개월 연속 수출액이 줄면서 감소 폭도 커지고 있어 우려도 커지고 있다.

품목 가운데 반도체와 컴퓨터, 선박이 수출을 주도한 반면 공급과잉으로 인해 단가가 떨어진 철강과 자동차, 석유화학, 가전 수출은 줄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4-02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