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사의 자산 이익률이 부채 적립 이율에 미치지 못하는 역마진 현상이 지난해에도 지속됐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보험사의 운용자산이익률(연 4.4%)이 보험부채(보험료적립금) 적립이율(연 4.8%)보다 낮아 0.4%포인트의 금리차로 역마진이 발생했다고 2일 밝혔다.
보유 자산에 적용된 평균 금리보다 부채에 대한 평균 금리가 더 높아 금리 손실을 본 것이다.
이런 현상은 2005년 이후 10개년 연속 발생한 것으로, 2013년의 0.5%포인트보다는 역마진 금리차가 0.1%포인트 줄었다.
다만, 운용자산 규모(616조7천억원)가 보험부채(536조8천억원)보다 많기 때문에 금리 역마진에도 이익은 1조5천억원 발생했다.
업권별로 보면 손해보험사는 운용자산이익률이 4.0%로 적립이율 3.8%보다 높고 생명보험사는 운용자산이익률이 4.5%로 적립이율 5.0%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금감원은 5.0% 이상 고금리 확정 이율 계약 비중이 25.8%나 되고 저금리 상황에서 자산 운용도 어려워 보험사의 재무구조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차원에서 자산운용 규제는 완화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보험사의 운용자산이익률(연 4.4%)이 보험부채(보험료적립금) 적립이율(연 4.8%)보다 낮아 0.4%포인트의 금리차로 역마진이 발생했다고 2일 밝혔다.
보유 자산에 적용된 평균 금리보다 부채에 대한 평균 금리가 더 높아 금리 손실을 본 것이다.
이런 현상은 2005년 이후 10개년 연속 발생한 것으로, 2013년의 0.5%포인트보다는 역마진 금리차가 0.1%포인트 줄었다.
다만, 운용자산 규모(616조7천억원)가 보험부채(536조8천억원)보다 많기 때문에 금리 역마진에도 이익은 1조5천억원 발생했다.
업권별로 보면 손해보험사는 운용자산이익률이 4.0%로 적립이율 3.8%보다 높고 생명보험사는 운용자산이익률이 4.5%로 적립이율 5.0%에 크게 미치지 못했다.
금감원은 5.0% 이상 고금리 확정 이율 계약 비중이 25.8%나 되고 저금리 상황에서 자산 운용도 어려워 보험사의 재무구조가 악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우려했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차원에서 자산운용 규제는 완화할 예정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