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이는 돈

움직이는 돈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15-04-15 23:48
수정 2015-04-16 02: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금리 내린 8개월 새 주식시장에 55조… 같은 기간 은행예금은 16조원 줄어

초저금리로 돈이 은행에서 주식시장으로 옮겨 가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내린 지난해 8월부터 지난달까지 8개월 동안 주식시장에 55조원이 몰려갔다. 추가 금리인하 기대감으로 주식시장에 더 많은 돈이 몰릴 전망이다.

15일 한은에 따르면 지난해 7월 말부터 지난달 말까지 8개월간 자산운용사의 수신액이 52조 1000억원(14.6%) 늘었다. 증권사의 투자자 예탁금은 2조 7000억원(17.4%) 늘어났다. 반면 은행의 정기예금은 같은 기간 16조원(2.9%) 감소했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8월과 10월, 그리고 지난달 기준금리를 각각 0.25% 포인트씩 내려 기준금리가 2.5%에서 1.75%가 됐다.

자산운용사로의 수신은 채권형 펀드와 머니마켓펀드(MMF)가 이끌었다. 금리가 내리면 채권값이 오르기 때문에 채권형 펀드로 단기 자금이 몰린 것이다. MMF는 갈 곳 못 찾은 뭉칫돈을 수시로 넣거나 빼는 전통적인 단기 상품이다. 채권형 펀드에 14조 2000억원, MMF에 21조 6000억원씩 유입됐다.

투자자 예탁금은 투자자가 주식을 사기 위해 증권사 위탁계좌에 맡긴 돈이다. 지난 2월 한 달간 3000억원가량 느는 데 그쳤으나 지난달에는 무려 1조 6000억원이 늘어났다.

기준금리가 또 내려갈 것이라는 전망은 여전하다. HSBC 아태지역 리서치센터 공동 대표인 프레드릭 뉴먼은 이날 한국 경제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한은에서 3분기쯤 추가 금리 인하를 발표하고 정부도 추가 부양책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한국이 외딴섬이 아닌 만큼 세계적인 팽창 정책에 맞춰 뭔가 나와야 한다”고 말했다.

HSBC는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가 지난해 11월 전망한 대로 3.1%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뉴먼 대표는 “추가 성장을 위해서는 빚을 늘린 가계가 아니라 저축을 늘린 기업이 임금을 올리고 투자에 나서는 등 대대적인 지출을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경하 기자 lark3@seoul.co.kr
2015-04-16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관련기사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AI의 생성이미지는 창작인가 모방인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인공지능(AI)이 생성한 이미지의 저작권 침해 문제가 도마 위에 올랐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으로,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1. AI가 학습을 통해 생성한 창작물이다
2. 저작권 침해 소지가 다분한 모방물이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