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배 증설 ‘SK이노’ 서산공장 르포
한여름 장맛비가 내린 뒤 습하고 뜨거운 공기로 가득한 외부에서 공장 안으로 들어서자 마르고 차가운 공기가 가득했다. 라인별로 외부 공기 유입을 막기 위해 설치된 차단막 안에서 배터리 셀이 조립되고 있었다. 공장 안에서는 방진복을 입은 직원들이 신중하게 각 라인을 점검했다. 먼지 하나도 허용하지 않는 배터리 공장은 흡사 반도체 생산라인을 보는 듯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29일 충남 서산시 서산오토밸리에 있는 SK이노베이션 전기차 배터리 공장에서 엔지니어가 생산된 배터리 셀을 점검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제공
SK이노베이션 제공
이번 증설로 SK이노베이션은 기존 1만 5000대 전기차 배터리 생산 분량(300MWh)의 2배인 3만대 분량(700MWh)의 설비를 확보하게 됐다. SK이노베이션 서산 공장 관계자는 “현재 거의 생산 가능량을 가득 채워 가동하고 있다”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현재 기아자동차의 전기차인 쏘울EV와 레이EV에 들어가는 배터리 전량을 공급하고 있다. 또 지난 1월 베이징전공, 베이징자동차와 함께 ‘베이징 BESK 테크놀로지’를 설립해 택시 및 일반 판매용 차량으로 판매되는 ‘EV200’ 모델에 배터리를 공급하고 있다.
김유석 SK이노베이션 배터리 사업부장(상무)은 “2018년이 되면 전기차 수요가 현재보다 훨씬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격적인 측면에서도 지금보다 상황이 더 좋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며 “그 시기가 되면 영업이익도 흑자로 돌아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SK이노베이션은 특히 중국의 자동차 업체에 하이브리드 버스용 배터리 공급을 추진하는 등 중국 내수 시장 확대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김 상무는 “2020년에는 전 세계 전기차 수요의 30%가 중국에서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현재 중국에서 가동 중인 전기차 배터리 팩 공장 외에 셀 공장 건립도 신중하게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산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5-07-30 1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