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에서 배운다 아차차!] <6>LG 스마트폰 사령탑 조준호 MC부문 사장

[실패에서 배운다 아차차!] <6>LG 스마트폰 사령탑 조준호 MC부문 사장

주현진 기자
주현진 기자
입력 2016-03-06 22:56
업데이트 2016-03-07 00: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금 나은 기능으론 부족하더라…독특한 가치 있어야 응답하더라”

“양강(삼성과 애플) 구도에선 선도업체 제품보다 좀 낫다는 정도만으로는 성공할 수 없더군요. 우리만의 독특한 가치가 필요합니다.”

이미지 확대
LG 스마트폰 사령탑 조준호 MC부문 사장
LG 스마트폰 사령탑 조준호 MC부문 사장
6일 LG전자 스마트폰 사령탑인 조준호(57) 모바일커뮤니케이션(MC)부문 사장은 이달 말 출시하는 프리미엄 스마트폰 ‘G5’를 소개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2014년 말 사장 취임 이후 이듬해 4월 내놓은 프리미엄폰 ‘G4’가 고전하면서 스마트폰 부문 영업 손실이 483억원으로 적자를 냈지만 그 경험을 토대로 만든 G5로 전기를 맞을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G5는 지난 2월 말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인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2016’에서 공개된 뒤 국내외 언론으로부터 잇단 호평을 받고 있다.

조 사장이 전작인 G4의 부진에서 얻은 교훈은 무엇일까.

G4는 마케팅에서 뛰어난 카메라 성능을 강조한 제품이다. 스마트폰 최초로 전면에 8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고 조리개값이 1.8인 카메라 렌즈 등을 넣어 전문가들이 쓰는 DSLR(디지털일안반사식) 카메라에 버금간다는 평을 받았다. 그러나 시장의 반응은 기대와 달랐다. 조 사장은 “사진 전문가들이 보기에도 (G4에는) 좋다고 생각하는 기능이 많았는데 고객들은 다른 것들도 이미 충분히 좋다고 생각했다”면서 “독특한 가치가 아닌 비슷한 기능만 가지고 경쟁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을 절감했다”고 말했다.

그래서 G4 직후 출시한 ‘V10’에는 금을 적용해 견고한 아름다움을 강조하거나 멀티태스킹을 할 수 있는 제2의 화면을 탑재하는 식으로 변화를 꾀했다. 제품은 한국은 물론 미국, 홍콩 등에서도 좋은 반응을 얻었고, 그 체험을 바탕으로 과감하게 시도한 제품이 바로 주력인 G시리즈의 다섯 번째 제품인 G5라고 그는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G5’ 연합뉴스
‘G5’
연합뉴스
G5는 다양한 부가 기능과 재미를 주는 주변 기기들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애플이 독자적인 운영체제(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구축했다면 G5는 가상현실(VR) 기기, 드론, 오디오, 폐쇄회로카메라, 카메라 손잡이 등과 연계해 쓸 수 있는 하드웨어 생태계를 만들었다. 이른바 ‘프렌즈’들이다.

조 사장은 “삶에서의 재미를 추구하는 분들을 겨냥했다”며 G5는 주머니 속의 테마파크 같은 독특한 가치를 가진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강자인 삼성이 LG에 앞서 프리미엄 스마트폰 신제품인 갤럭시S7을 내놓는 데다 중국 업체들의 추격도 거세지만 조 사장은 마음의 준비를 끝낸 상태다.

그는 “소비자들에게는 독특한 가치로 어필하는 게 중요하지 비슷한 기능을 내세우거나 가성비에 중점을 두는 것은 의미가 없다”면서 “우리 나름의 고객 가치를 계속 추구하겠다”고 강조했다.

끝으로 “삼성 갤럭시 신제품을 보고 우리와 길이 다르다고 생각돼 다행이라고 느꼈다. 우리가 가고자 하는 길과 비슷할까 봐 걱정했다”고 웃으며 말했다.

주현진 기자 jhj@seoul.co.kr
2016-03-07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