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맞벌이가구 소득, 맞벌이의 70% 수준…주거비는 더 써

비 맞벌이가구 소득, 맞벌이의 70% 수준…주거비는 더 써

입력 2016-03-07 07:25
업데이트 2016-03-07 07: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맞벌이가 아닌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맞벌이 가구의 7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낮아 지출 규모도 작았지만 주거비는 더 쓰는 것으로 파악됐다.

7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을 보면 지난해 맞벌이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41만907원, 맞벌이가 아닌 가구는 374만466원이었다.

맞벌이 외 가구 소득이 맞벌이 가구의 69%인 셈이다.

맞벌이 외 가구에는 외벌이와 부자나 모자가 돈을 버는 가구, 무직 가구 등이 모두 포함돼 있다.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구 중 62.1%가 맞벌이 외 가구로 집계됐다.

소득이 낮다 보니 지출도 맞벌이 외 가구가 적었다.

작년 월평균 소비지출을 보면 맞벌이 가구가 295만8천225원, 맞벌이 외 가구는 232만2천214원으로 조사됐다.

그러나 지출 항목별로 보면 식료품·비주류음료, 주거·수도·광열, 보건비 등 필수 지출은 맞벌이와 맞벌이 외 가구가 비슷한 수준이거나 오히려 맞벌이 외 가구가 많았다.

주거·수도·광열의 경우 맞벌이 가구가 매달 27만6천486원 꼴로 썼는데, 맞벌이 외 가구는 27만8천66원으로 더 많이 지출했다.

특히 주거·수도·광열 지출 중 주택유지및수선, 상하수도및폐기물처리, 연료비 등은 맞벌이 가구가 맞벌이 외 가구보다 많았지만 주거비만 보면 맞벌이 외 가구의 지출(7만9천471원)이 맞벌이 가구(6만5천625원)보다 많았다.

보건비도 맞벌이 외 가구가 17만5천69원으로 맞벌이가구(17만3천203원)보다 소폭 많이 썼다.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맞벌이 가구가 37만2천917원으로, 맞벌이 외 가구(34만2천505원)보다 10% 더 쓰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출 중 식료품비와 주거·수도·광열비, 보건비 등 비중이 크다 보니 맞벌이 외 가구는 다른 항목에 돈을 쓸 여력이 적었다. 맞벌이 외 가구가 맞벌이 가구에 비해 지출이 특히 적은 항목은 교육비였다.

지난해 맞벌이 외 가구의 월평균 교육비는 22만9천441원으로, 맞벌이 가구(37만1천730원)의 60% 수준이었다.

맞벌이 외 가구의 실제 주거비가 맞벌이 가구보다 많은 것은 월세에 사는 비중이 높아서일 가능성이 있다.

실제 주거비는 월세를 기준으로 측정되는데, 집을 소유하거나 전세로 사는 가구의 주거비 지출은 0원으로 계산돼 전체 평균이 낮아질 수 있다.

이준협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상대적으로 소득이 적은 비 맞벌이 가구가 내 집을 사지 못하거나 전세 자금을 마련하지 못해 월세로 사는 경우가 많은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