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종룡 “금융공기업 성과주의 도입 속도 내야”

임종룡 “금융공기업 성과주의 도입 속도 내야”

입력 2016-03-07 09:21
업데이트 2016-03-07 1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조기 도입 기관에는 인센티브…노조의 무대응 전략은 무책임한 자세”

임종룡 금융위원장이 7일 금융공기업 기관장들에게 성과주의 도입 계획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무사 안일한 신의 직장’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하라고 주문했다.

임 위원장은 이날 금융위원회 대회의실에서 제2차 금융공공기관장 간담회를 열고 금융공기업을 중심으로 한 성과주의 문화 확산을 위해 이처럼 말했다.

이날 회의에는 산업은행, 기업은행, 수출입은행, 예금보험공사, 신용보증기금, 기술신용보증기금, 주택금융공사, 자산관리공사, 예탁결제원 등 9개 금융공공기관의 기관장이 참석했다.

임 위원장은 모두발언에서 “성과주의 정착은 금융개혁의 마무리일 뿐만 아니라 성패를 좌우할 핵심요인”이라며 “국가 경제적으로 핵심 역할을 담당해온 금융공공기관이 성과중심 문화를 선도해 나가기를 진심으로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임 위원장은 “이제부터는 기관별로 구체적인 실행계획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이른 시일 내에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관장님들은 금융공공기관이 ‘무사 안일한 신의 직장’이라는 지적에서 벗어나 국민들로부터 신뢰받고 사랑받는 기관이 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당부했다.

노조의 변화도 촉구했다.

임 위원장은 “노조를 포함한 직원과의 끊임없는 소통과 공감대 형성을 당부드렸지만 안타깝게도 노조가 대화에 전혀 응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산노조와 사용자협의회가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대화를 시작해 결과를 도출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어 “금산노조가 무대응을 대응책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리는 무책임한 자세”라고 비판했다.

금융연수원을 중심으로 직원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강화하기로 했다.

임 위원장은 “개별 기관이 직원의 역량 강화를 위해 전문적인 맞춤형 자체 프로그램을 운영해달라”며 “개별 기관이 제공하기 어려운 전문교육은 금융연수원이 개발해 제공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교육 강화는 노사협의가 필요한 영역이 아니므로 상반기 중 방안을 확정해 신속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위는 이날 간담회에서 금융기관들의 성과주의 문화 도입계획을 점검했다.

점검결과 모든 기관이 제도 개선안을 금년 중 마련하고 관련 규정 개정을 완료할 계획을 세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금융공공기관들은 공정한 평가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외부 컨설팅을 통한 객관적인 직무분석을 이미 의뢰했거나 의뢰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위는 이날 간담회에 앞서 9개 금융공공기업과 함께 성과중심 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정부와 각 기관 모두 신의성실의 원칙에 맞춰 성과중심 문화 확산을 위해 노력한다는데 뜻을 모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