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H 올해 공공임대 9만 6000가구 공급…2013년이후 최대

LH 올해 공공임대 9만 6000가구 공급…2013년이후 최대

입력 2016-03-07 11:33
업데이트 2016-03-07 11: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민임대 2만8000, 매입·전세임대 3만5000가구 등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올해 무주택 서민들의 주거안정과 전세난 해결을 위해 공공 임대주택 9만 6000가구를 신규로 공급한다고 7일 밝혔다. 이는 2013년 이후 최대 규모다.

행복주택은 서울 가좌, 인천 주안, 대구 신서 등에서 1만 1268가구의 입주자를 모집한다. 전체 공급물량의 80%(9014가구)를 대학생과 신혼부부, 사회초년생에게 공급하며 취업준비생, 예비 신혼부부 등도 신청할 수 있다.

최장 30년간 거주할 수 있는 국민임대주택은 전국 23개 지구에서 2만 8022가구를 공급한다.

위례·남양주 별내·성남 여수 등 수도권에서 1만 7736가구, 울릉도(110가구)를 포함한 지방에서 1만 286가구를 공급한다.

입주 대상은 당해 지역 거주자로서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의 70%(3인 이하 337만2000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60∼80% 선에 책정된다.

10년 공공임대는 지난해보다 2천가구 늘어난 2만 1340가구를 선보인다.

다음달 시흥 목감·은계지구 3개 블록에서 2272가구를 공급하는 등 구리 갈매·화성 동탄2·하남 미사·부산 명지 등 24개 지구에서 입주자를 모집한다.

10년 공공임대의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90% 수준이며 10년간 살다가 분양전환받을 수 있다.

전용면적 60㎡ 이하인 경우 도시근로자 월평균 소득 100% 이하인 무주택 세대 구성원에게 공급된다.

영구임대는 구리 갈매지구 380가구를 비롯해 총 3624가구를 주변 시세의 30% 이하의 임대료로 공급한다.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국가유공자 등 사회보호계층이 입주 대상이다.

다가구주택을 개·보수해 공급하는 매입임대주택은 6480가구가 배정됐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30∼40% 선에 책정되며 평균 보증금 500만원, 월 임대료는 10만∼15만원 수준이다.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보호대상 한부모 가족 등에게 공급된다.

최대 8천만원까지 전세금을 지원해 주는 전세임대주택은 2만 5000가구를 공급한다. 올해부터 대학생 전세임대 물량을 5000가구로 확대하고 고령층 전세임대를 신설해 독거노인 등에게 2000가구를 임대한다.

매입임대와 전세임대는 입주 희망자 본인이 원하는 지역에 거주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수개월 내에 입주할 수 있어 서민 전월세난 해결에 긴급 처방이 될 것으로 LH는 보고 있다.

LH는 이외에 기존 입주민의 퇴거 등으로 발생한 국민임대주택 3만 5000가구의 예비 입주자도 모집한다.

입주자격과 임대조건은 신축 국민임대와 동일하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