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운명 쥔 용선료 담판

현대상선 운명 쥔 용선료 담판

유영규 기자
유영규 기자
입력 2016-03-24 17:01
업데이트 2016-03-25 08: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현대상선 지원 여부를 두고 채권단과 사채권자가 팽팽한 줄다리기를 벌이는 가운데 현대상선의 운명을 좌우할 용선료(배 사용료) 인하 여부가 다음달 결정된다. 해외 선주에게 연 2조원에 이르는 돈을 주고 배를 빌려 쓰는 현대상선은 협상에 성공해야 자금 사정에 숨통이 트이고 만기 연장에 반대하는 사채권자의 마음도 돌려세울 수 있다. 자율 협약으로 가닥을 잡은 산업은행 등 채권단이 “용선료 협상이 성공적이어야 한다”는 단서를 단 점도 현대상선이 이번 협상에 배수진을 칠 수밖에 없는 이유다.

24일 금융권과 해운업계에 따르면 현대상선은 해외 선주에게 연 1조 8793억원의 용선료를 지불하고 있다. 보유 중인 125척 중 85척이 빌린 배다. 현대상선은 선주들을 만나 “시세를 고려하면 임대료가 지나치게 비싸니 깎아 달라”고 요구 중이다. 용선료 부담을 감당하지 못해 회사가 쓰러지면 선주도 손해를 보니 용선료를 내려주고 상생하자는 것이다. 실제 현대상선이 2010년 하루 5만 달러를 준다는 조건으로 임대한 8700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컨테이너선은 현재 8000달러면 빌릴 수 있다. 최근 업황 침체로 그리스와 이스라엘의 해운사들이 선주사들과 용선료 인하에 합의한 사례에 희망을 걸고 있다.

현대상선은 해운업이 활황이던 2010년 해외 선주들과 대규모 용선계약을 맺었다. 당시 중국을 중심으로 해운물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던 때라 배를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하지만 해운경기가 급속히 고꾸라지면서 이런 대량 계약은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현대상선 측은 “세계적으로 항만에 묶여 있는 대형선이 200척이 넘을 정도로 업계 상황이 바닥인 점을 고려하면 선주들도 긍정적인 결론을 낼 것”이라며 재협상 성사에 기대를 걸었다.

하지만 비관론도 적지 않다. 컨테이너선이나 벌크선 같은 대형 선박은 선주 역시 대부분 돈을 빌려 배를 사는 데다 빌린 배를 재임대하는 등 임대구조가 복잡하게 얽혀 있다. 때문에 선주가 현대상선 임대료를 깎아 주면 그 부담을 선주가 고스란히 안을 수 있다. 계약 관계에 놓인 모든 이해 당사자를 설득하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세입자가 형편이 어렵다고 계약기간 중에 월세를 깎아 달라고 하면 집주인이 쉽게 응하겠느냐”면서 “선주들이 다른 해운사와의 형평성을 내세우며 반대할 가능성도 높다”고 말했다. 사채권자 집회에 참석한 한 신용협동조합 관계자는 “설사 협상이 성공해도 인하 폭이 시장의 기대치를 만족시키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영규 기자 whoam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