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 80%·전업맘 70% “자녀 방학은 스트레스”

워킹맘 80%·전업맘 70% “자녀 방학은 스트레스”

입력 2016-08-11 07:22
업데이트 2016-08-11 07: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방학에 평균 22만원 더 지출…학습관리 부담도 커져

아이의 방학으로 시간적·경제적 부담이 커지면서 스트레스를 받는 엄마의 비율이 ‘전업맘’보다 ‘워킹맘’ 사이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에 따르면 이달 1∼7일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둔 546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자녀의 방학으로 스트레스를 받느냐는 질문에 전업맘은 71.4%, 워킹맘은 79.5%가 ‘그렇다’고 답했다.

스트레스의 요인(복수응답)으로 전업맘은 64.0%가 ‘자녀를 돌보는 시간 증가’를 꼽았고 ‘자녀의 나태한 생활습관과 텔레비전·스마트폰 이용 증가로 인한 갈등’(52.0%). ‘보충·선행학습 등 학습관리’(35.2%), ‘체험활동·캠프 등 외부활동 부담’(32.1%), ‘학기 중에 비해 늘어난 사교육비’(29.4%) 등이 2∼5위를 차지했다.

이에 비해 워킹맘은 ‘보충·선행학습 등 학습관리’때문에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가 69.4%로 가장 많았다.

‘자녀의 나태한 생활습관과 텔레비전·스마트폰 이용 증가로 인한 갈등’(57.8%), ‘자녀의 늘어난 시간만큼 함께 해주지 못하는 아쉬움’(50.3%), ‘체험활동·캠프 등 외부활동 지원 부담’(41.5%), ‘방학 기간 중 몰아서 사용하게 되는 연차’(13.6%)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워킹맘도 적지 않았다.

방학에 자녀를 주로 돌보는 방법(복수응답)에 대한 질문에 전업맘은 88.6%가 직접 돌본다고 답했고, 40.0%는 학원 같은 사교육 활동을 더 한다고 답했다.

이에 비해 워킹맘은 55.6%가 ‘근무시간은 혼자 두고 근무 외 시간은 직접 돌봄’이라고 대답했다. ‘학원 같은 사교육 활동 추가’(36.7%), ‘조부모나 지인의 도움을 받음’(27.8%), ‘배우자와 번갈아 연차·휴가 활용해 돌봄’(23.7%)이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학기 중과 비교해 방학에 자녀에게 돈이 더 많이 들어간다고 답한 이들은 58.5%였는데, 더 들어가는 돈을 평균내보면 한 달에 22만원 정도였다.

방학에 자녀를 위해 쓰는 비용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복수응답)은 ‘뮤지컬·영화·여행 등 문화생활비’(60.4%)였고 ‘식비’(52.8%)와 ‘교육비’(45.3%), ‘체험학습비’(35.8%)를 꼽은 이들도 많았다.

학기 중과 방학 가운데는 ‘학기 중이 더 좋다’는 응답자가 69.8%로 압도적이었고, 엄마들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방학 기간은 평균 27.5일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