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휴가철 고속도로 교통량 분산효과 컸다…폭염 덕분?

올 휴가철 고속도로 교통량 분산효과 컸다…폭염 덕분?

입력 2016-08-14 10:16
업데이트 2016-08-14 10: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 적게 와 차량 집중현상 줄어…사고 사망자도 절반으로 감소

올해 여름휴가의 절정기에는 무덥지만 화창한 날씨 덕에 고속도로 교통량이 날짜별로 고루 분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교통량은 작년보다 많았지만 비가 적게 오면서 고속도로 사고 사망자수는 절반으로 줄었다.

14일 한국도로공사에 따르면 하계 피서객이 몰린 지난달 22일부터 이달 7일까지 하루 평균 442만3천대씩 총 7천518만4천대의 차량이 고속도로를 이용했다.

이 기간에 일일 고속도로 교통량 1위는 472만6천대의 차량이 통행한 7월 30일이었고, 교통량이 가장 적었던 날은 374만7천대 수준인 8월 7일이었다.

하계 휴가철은 추석, 설과 함께 연중 교통량이 가장 많은 때로 꼽힌다.

역대 일일 고속도로 교통량 1위는 작년 추석인 9월 27일(527만3천대)이며 2위는 2014년 추석인 9월 8일(524만6천대), 3위는 임시공휴일이자 휴가철인 작년 8월 14일(517만7천대) 순이었다.

이번 휴가철에는 일일 최대 교통량이 7월 30일 472만6천대에 그치면서 역대 교통량 상위 10위인 작년 설날(2월 19일)의 489만3천대보다도 16만대가량 적었다.

다만 이날 하루에만 통행료 145억4천만원이 걷히면서 통행료 기준으로는 역대 5위를 차지했다. 1위는 올해 설날인 2월 8일로, 당시 148억5천만원의 통행료가 징수됐다.

지난해와 비교해 전체 교통량이 많았음에도 하루 최대량이 적은 것은 특정일에 몰리지 않고 날짜별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는 의미다.

도로공사는 이처럼 교통량이 분산된 원인으로 날씨를 들었다.

이번 휴가철에는 서울 기준으로 일 강수량 10㎜ 이상인 날이 하루(7월 29일)에 그치면서 비를 피해 특정한 날에 이동이 몰리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작년에는 7월 23∼26일 나흘간 각각 16㎜, 26.5㎜, 80㎜, 40.5㎜의 비가 내리고 8월 2일에도 16.5㎜의 강수량을 기록해 이 기간을 피하느라 7월 마지막 주에 차량 이동이 집중됐다.

이와 함께 작년 6월 30일 개통한 충주∼제천 고속도로 이용객이 늘면서 교통량 분산을 도운 것으로 분석됐다.

이 고속도로는 개통 후 1년간 인지도가 상승해 올 휴가철 통행 차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0%가량 증가했다.

한편 이번 휴가 기간에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에 따른 사망자수는 6명으로 작년 12명의 절반 수준으로 감소했다.

도로공사 관계자는 “비가 적게 와 도로 상황이 좋았던 것과 더불어 최근 대형 교통사고가 여러 건 발생하면서 운전자들의 경각심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