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접종 안하면 손해”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 접종 안하면 손해”

입력 2016-08-14 13:04
업데이트 2016-08-14 13: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작용 의심 반응, 심리적 요인 영향”…“시기 놓치면 접종 못해”

국내외에서 자궁경부암 백신 부작용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임상 결과를 놓고 볼 때 “부작용은 심리적 요인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오히려 접종하지 않는 게 손해”라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주웅 이대목동병원 교수(이대여성암병원 부인종양센터장)는 14일(현지시각)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주 교수는 12일부터 이날까지 콘래드 센테니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아시아·오세아니아 생식기 감염 및 종양 연구기구(AOGIN)의 연례 학술대회에 포스터 세션 발표자 자격으로 참석했다.

2004년 시작된 AOGIN 학회는 아시아 내 사람유두종바이러스(HPV)의 생식기 감염으로 인한 생식기 사마귀나 자궁경부암 등의 질병 감소를 목표로 하는 학회다.

올해는 HPV 감염을 예방하는 자궁경부암 백신 제조사인 엠에스디(MSD)와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등이 학회를 후원했다. 이 중 MSD와 GSK는 각각 국내 무료접종에서 사용 중인 자궁경부암 백신 ‘가다실’과 ‘서바릭스’를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 6월부터 만 12세 여성 청소년에게 해당 백신을 무료접종하고 있다.

주 교수는 “2만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 결과를 보면 자궁경부암 백신의 효과와 안전성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는 게 의료계 대부분의 의견”이라며 “부작용 역시 백신 접종에서 비롯됐다는 과학적 근거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백신 접종과 부작용의 선후관계는 있을 수 있으나 인과 관계는 찾기가 어렵다”며 “세계보건기구(WHO), 유럽의약국(EMA) 등에서도 백신의 안전성이 입증됐다고 결론 내린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자궁경부암 백신의 경우 타인과의 성 접촉 이전, 그리고 나이가 어릴수록 면역원성(항체반응 유발능력) 효과가 높다는 점을 들어 적절한 시기를 놓치지 않고 맞는 게 좋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궁경부암 백신은 그 시기가 지나면 상대적으로 효과가 떨어지고 접종 시기가 지나면 맞을 수 없으므로 대상자라면 접종을 고려하는 게 좋다”며 “안 맞으면 손해”라고 말했다.

사람들이 우려하는 접종 후 부작용은 심리적 요인에 의한 ‘심인성’(心因性) 반응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자궁경부암 백신의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사례는 콜롬비아의 여학생 집단 실신, 일본의 보행장애와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이 있다.

주 교수는 “학교에서 집단으로 백신 접종이 이뤄질 경우 학생들이 공포나 심리적 동요에 휩싸일 가능성이 큰데 특히 심리적으로 민감한 여성 청소년을 중심으로 영향을 주고받는 경우가 많다”며 “콜롬비아 부작용 사례 역시 한 마을에서만 국한돼 발생했다는 점을 보아 같은 집단에서 심리적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2014년 콜롬비아 엘 카르멘에서는 자궁경부암 백신을 접종받은 여학생들이 대거 실신하는 사태가 벌어져 논란이 됐다. 당시 콜롬비아 정부는 콜롬비아 전역에서 백신을 접종했으나 유일하게 엘 카르멘에서만 문제가 발생했다며 백신과 집단 실신은 관련이 없다고 발표한 바 있다.

주 교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확인되지 않은 부작용 사례가 확산한 것도 사람들의 우려를 키우는 원인”이라며 “사람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의료계와 보건당국에서 신뢰할 만한 정보를 제공하는 게 중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