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크 없는 가계빚 증가세

브레이크 없는 가계빚 증가세

백민경 기자
백민경 기자
입력 2016-09-04 23:10
업데이트 2016-09-05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대 은행 8월 주택대출 전월보다 약 4조원 늘어

주택시장의 비수기인 8월에도 주택담보대출이 급증하는 등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이지 않자 금융감독원이 상황 점검을 위한 특별 태스크포스(TF)를 가동했다. 은행권에는 “각자 가계부채를 줄일 방법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지난 2일 가계부채 점검을 위한 특별 TF를 출범했다. 은행·증권·보험·상호금융을 담당하는 각 국장이 모여 업권별 가계부채 증가 실태를 분석하고 관리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다. 금감원이 비수기 TF까지 가동한 것은 대출 심사를 더 깐깐하게 하는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전국적으로 확대된 지난 5월 이후에도 가계대출 증가세가 잡히지 않아서다.

●비은행 6월 산업대출 1년새 10조 늘어

통상 여름 휴가철이 겹치는 7~8월은 주택시장 비수기라 일컬어진다. 하지만 지난달 역시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는 꺽이지 않았다. 국민·신한·우리·KEB하나 등 6대 은행의 8월 말 기준 주택담보대출 잔액은 371조 5000억원으로 전달보다 3조 9884억원 증가했다. 올해 6월(4조원), 7월(4조 2000억원)과 비교하면 증가세가 다소 둔화했지만 여전히 4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이에 따라 금감원은 우선 은행권에 이달 중순까지 자체 분석을 통한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방안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은행권 가계부채 증가세를 더 면밀하게 살펴보겠다는 신호를 보낸 셈이다. 필요하다면 현장 점검도 나설 계획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TF의 가계부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토지·상가 비주택담보대출 관련 가이드라인을 만든다든지, 상호금융권에도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을 검토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풍선효과’도 문제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 말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의 산업대출금 잔액은 170조 3410억원으로 지난해 말과 비교해 6.3%(10조 797억원) 늘었다.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은행들이 대출 문턱을 높이자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2금융권으로 쏠린 탓이다. 특히 이 중 상당 부분은 자영업자가 사업과 생계 등을 위해 빌린 돈으로 보인다. 2금융 자영업자 대출은 따로 집계하지 않아 통상 산업대출금에 포함된다.

●자영업자 사업·생계 위한 융자 많은 듯

전문가들은 자영업자 부채는 경기 침체, 부동산 가격 하락, 금리 인상 등 여러 충격에 민감한 만큼 체계적인 모니터링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한 금통위원은 “개인사업자 대출은 가계부채와 유사한 성격을 지닌데다 가계대출을 동시에 보유한 자영업자는 부실화될 위험이 더 크다”면서 “자영업자 대출을 가계부채에 포함해 관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백민경 기자 white@seoul.co.kr
2016-09-05 1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