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8조 버는 마사회 기부는 0.2% ‘쥐꼬리’

연간 8조 버는 마사회 기부는 0.2% ‘쥐꼬리’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16-09-21 22:50
업데이트 2016-09-22 0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국감 지적에도 되레 줄어… 156억 중 33억은 심의 없이 써

사행산업을 통해 연간 8조원에 가까운 매출을 올리고 있는 있는 공공기관 한국마사회가 사회공헌에 지나치게 인색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완주 의원이 마사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마사회가 기부금으로 지출한 금액은 총 156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7조 7822억원의 0.2%에 불과했다. 매출 대비 기부금의 비중은 2011년 0.3%에서 2012년 0.2%대로 감소한 이후 지난 4년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해 왔다. 비슷한 성격의 사행산업 공공기관인 강원랜드와 그랜드레저코리아(GLK)와 비교해도 매출액 대비 기부금 비중이 크게 낮은 것이다. 강원랜드(0.8%)에 비해서는 4분의1, GLK에 비해서는 10분의1 수준이다.

기부금 총액 역시 해를 거듭할수록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기부금 액수는 2011년 204억원에서 2012년 193억원, 지난해 156억원으로 4년 만에 23%가 줄어들었다.

마사회는 지정기부금을 집행하면서 내부 규정을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정기부금은 사회복지법인, 문화예술단체, 환경보호운동단체, 종교단체 등 사회복지, 문화, 예술, 종교 등 공익성을 고려해 지정한 단체에 기부하는 것으로, 마사회의 ‘기부금 관리규정’에 의하면 내·외부 위원으로 구성된 심의위원회를 거쳐 집행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지난해 집행된 지정기부금 33억원에 대해 심의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7300만원은 지정기부금 단체가 아닌 곳에 집행됐다.

박 의원은 “마사회가 2014~2015년 국정감사에서 사회공헌 사업을 확대하라는 지적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기부금 액수가 오히려 줄어들었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마사회 관계자는 “전체 매출에서 고객 환급금과 레저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등 세금을 빼면 11% 정도가 순매출이고, 각종 적립금과 기금을 제외하면 순수익은 수천억원대”라면서 “강원랜드와 비교할 때 순매출 비율의 차이가 크다”고 말했다.

세종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6-09-22 2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