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뱅크 은행장 문답…“영업 첫해 여신 4천억원 목표”

K뱅크 은행장 문답…“영업 첫해 여신 4천억원 목표”

입력 2016-12-14 16:25
업데이트 2016-12-14 16: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3년 내 2천억∼3천억원 증자 필요”

심성훈 K뱅크 은행장은 14일 “내년에만 4천억원의 여신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심 행장은 이날 금융위원회에서 K뱅크의 은행업 영위 본인가를 받은 뒤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말했다.

심 행장은 “2∼3년 내 2천억∼3천억원의 증자가 필요하다”며 “증자를 준비하는 시간을 고려하면 내년 상반기까지는 은행법이 개정돼야 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심 행장과 일문일답.

-- 내년 말 기준으로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 비율은 얼마나 되는가.

▲ 내년 여신 목표는 4천억원이다. 이 경우 내년 말 BIS 비율은 11~12%가 될 전망이다. 2∼3년 안에 추가로 2천억∼3천억원 규모의 증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준비과정을 고려하면 내년 하반기에는 증자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 은행법 개정이 늦어질 경우 대안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

-- 최고 수준의 수신금리, 최저 수준의 대출금리를 말했는데 얼마 정도로 예상하나.

▲ 딱 잘라 숫자로 말하긴 어렵다.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100% 비대면 은행이고 다른 은행과 달리 적은 인력에 부동산 비용 등이 없어 기존 은행과 비용면에서 차이가 크다. 이런 이익을 고객에게 상당 부분 돌려줄 계획이다.

-- 중금리 대출에서 기존 은행과 차별점은 무엇인가.

▲ K뱅크는 보증보험 기반이 아닌 자체 신용평가를 통해 중간 신용등급자에게 대출할 계획이다. 비용면에서 차이가 있다.

-- 빅데이터를 활용해 기존 은행과 다른 신용평가 모델을 구축한다고 했는데 어떻게 다른가.

▲ 고객의 동의를 받아 통신요금 납부 내역 등 빅데이터를 활용할 계획이다. 수입이 있고 통신요금도 잘 냈다면 신용도가 낮아도 대출하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4∼6등급의 중간등급 신용자 중 내부등급을 최대 10개로 나눌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이 안에서 수백 개의 조합이 나올 수 있다. 더 세분화해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뱅크가 예비인가를 받는 과정에서 차은택씨가 개입했다는 의혹이 있다.

▲ (최훈 금융위 금융서비스 국장) 전혀 사실이 아니다. 예비 인가를 낼 때부터 금융감독원 안에 외부평가위원을 선정해 평가 기준을 사전에 공개했다. 나머지 사업계획 평가 등은 외부평가위원에 맡기고 혹시나 의혹을 받을까 봐 금융위도 참여 안 했다. 평가가 나오자마자 바로 임시 금융위를 열고 예비인가를 내줬다. 외부에서 관여할 여지가 전혀 없었다.

-- 개인 금융 외에 외환이나 기업 금융은 언제 시작하나.

▲ 외환은 수입 망에도 가입해야 하고 딜링룸도 필요하다. 일단은 외환 송금 등 간단한 서비스는 내년 말에 시작할 수 있게 논의하고 있다. 기업 금융도 개인기업과 달리 비대면으로만 처리하기 어려워 시간이 걸릴 것 같다.

-- 오프라인 접점으로 편의점을 활용한다고 했다.

▲ 주주사인 GS리테일의 GS25편의점이 전국에 1만500개 정도 퍼져있다. 여기에 현금자동입출금기(ATM)를 활용해 계좌에도 가입하고 체크카드도 바로 발급받을 수 있게 할 계획이다. K뱅크 영업 시작과 함께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스마트 ATM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편의점에 설치하긴 어렵고 주요 거점 편의점부터 시작할 계획이다.

-- 사업이 언제부터 흑자로 돌아설 것으로 기대하나.

▲ 4년 정도 걸릴 것 같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