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성장률보다 2.5배 빠른 ‘빚의 속도’

경제성장률보다 2.5배 빠른 ‘빚의 속도’

오달란 기자
오달란 기자
입력 2016-12-20 21:18
업데이트 2016-12-21 00: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가구당 평균 부채 6655만원… 100만원 벌면 26만원 빚 갚아

주택 대출 영향… 1년새 6.4% 늘어
2013년 이후 부채증가율 최대치


저금리를 등에 업고 대출을 받아 집을 장만하거나 부동산에 투자한 가계가 늘면서 가구당 평균 부채가 큰 폭으로 상승했다. 부채 늘어나는 속도가 소득 증가율은 물론 경제성장률의 2배를 웃돈다. 그렇다 보니 가계는 가처분소득의 4분의1을 대출 원금과 이자 상환에 쓰며 허덕이고 있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과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은 20일 전국 2만 가구의 재무 상황을 조사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의 평균 부채는 6655만원으로, 1년 전보다 6.4%(339만원) 증가했다. 2013년의 부채증가율(7.5%)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부채의 70.4%를 차지하는 금융부채 중에서도 담보대출(3847만원)이 7.9%로 가장 많이 늘었고 신용대출은 692만원으로 5.9% 증가했다.

늘어난 빚의 상당액은 살 집을 마련하거나 부동산에 투자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조사됐다. 담보·신용대출이 있는 가구의 40.3%는 거주 주택을 마련하기 위해 빚을 졌다고 답했다. 1년 전보다 2.4% 포인트 늘었다. 거주 주택 이외의 부동산을 마련하려고 빚을 냈다는 가구도 18.8%로 2.7% 포인트 증가했다.

가구주의 직업별로 보면 무직이거나 기타 직업을 가진 가구주의 가계부채 증가율이 11.9%로 가장 높았다. 이들의 평균 부채는 3479만원이었는데, 이 중 절반(48.4%)을 임대보증금(1685만원)이 차지했다. 전·월세 가격 상승으로 취약계층의 보증금 부담이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부채가 늘어도 갚을 능력이 있으면 괜찮을 텐데 소득 증가율은 둔화하고 있다. 가계가 벌어들인 소득은 4883만원으로 전년보다 2.4%(113만원) 늘어나는 데 그쳤다. 부채 증가율(6.4%)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인 2.6%보다도 낮다. 가계소득 증가폭은 2013년 5.8%, 2014년 4.0%, 2015년 2.4%로 해마다 둔화하는 추세다.

가계의 빚 부담을 나타내는 처분가능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 비중은 26.6%로 전년보다 2.6% 포인트 증가했다.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보험료 등 공적 지출을 제외한 여윳돈을 100만원이라고 치면 26만원가량을 대출 원금과 이자를 갚는 데 쓴다는 뜻이다. 2010년(16.2%)과 비교하면 10.4% 포인트나 늘어났다. 기획재정부는 “다달이 이자만 내다가 원금을 한꺼번에 갚는 거치식 대출을 억제하고 매월 원금도 일정액 갚아 나가는 분할 상환 관행이 정착하면서 가계부채 구조가 질적으로 개선된 결과로 부정적으로만 볼 일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가계는 늘어난 원리금 부담에 허덕이고 있다. 금융부채가 있는 가구의 70.1%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이 중 74.5%는 원금과 이자 상환 부담으로 저축 및 투자 지출을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6-12-21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